李대통령 "복수국적 연령 하향, 사회적 공감대 모을 것"

"재외국민투표 쉽게 할 수 있는 조치 신속히 강구할 것"

이재명 대통령은 2일 재외동포 투표 환경 개선을 위한 조치를 약속하고, 복수국적 허용 연령 하향 문제도 사회적 합의를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세계한인의 날' 기념식에 참석한 이 대통령은 "동포 사회의 염원인 복수국적 연령 하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지혜를 모아나갈 것"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8월 미국 방문 중 재미동포 간담회에서도 "복수국적 연령 하향 문제 해결에 힘을 쏟겠다"고 말한 바 있다.

현행 국적법에 따라 복수국적은 외국 국적을 취득해 한국 국적을 상실한 65세 이상의 동포에게만 허용된다. 재외동포 사회에선 국적법을 개정해 한국 국적 회복이 가능한 연령 기준을 하향 조정해야 한다는 요구가 많다. 은퇴 이후 시기에는 한국 국적을 회복하더라도 사업과 투자 등 국내 경제활동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복수국적 허용 연령을 하향해 경제활동 연령기 동포들의 한국 국적 회복 문턱이 낮아지면 인재 영입과 세수 확보, 건강보험료 수입 등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반면 병역 의무가 만 40세까지인 상황에서 복수국적 허용 연령이 낮아질 경우, 병역 의무를 회피하고 연금과 의료 혜택만 누릴 수 있다는 반감이 적지 않다. 고령층 증가로 복지 재정에 부담이 될 수도 있다는 반론도 있다.

한편 이 대통령은 "'비행기 타고 세 시간 가서 투표했다', '1박 2일동안 투표를 신청하고 투표하느라 엄청나게 돈 들었다'는 인증샷 올리는 일 아름다운 일이긴 하지만 가까운 곳에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주권을 쉽게 행사할 수 있는 조치를 최대한 신속하게 강구하도록 하겠다"며 재외동포 투표환경 개선도 약속했다.

다만 "몇 개 도시, 몇 개 나라를 합쳐 투표소 하나 만들어 놓고 투표를 하라는 건지 약을 올리는 건지 알 수 없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예산이 필요하다"면서 임시고용이나 우편투표 도입 방안에 "많은 논란이 있는 게 사실"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여러분들이 힘을 모아서 단단하게 뒷받침해 주면 아주 빠른 시간 내에 제도 개혁이 가능하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또 "단순한 민원 처리를 넘어서서 현지 교민 여러분들의 대한민국을 향한 충심들이 제대로 조직되고 발휘될 수 있도록 영사 기능도 대폭 강화하고 재편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정부는 해외에 계신 우리 국민과 동포 모두의 권익과 안전을 지키는 일에 더욱 힘을 쏟을 것"이라고 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2일 서울 광진구 그랜드워커힐서울 호텔에서 열린 제19회 세계한인의 날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임경구

2001년에 입사한 첫 직장 프레시안에 뼈를 묻는 중입니다. 국회와 청와대를 전전하며 정치팀을 주로 담당했습니다. 잠시 편집국장도 했습니다. 2015년 협동조합팀에서 일했고 현재 국제한반도팀장을 맡고 있습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