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총회 참석차 방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페트르 파벨 체코 대통령과 연쇄 회담을 가졌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의 면담에서는 한반도 평화에 대한 유엔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제80차 유엔총회에 참석한 이 대통령은 이날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면담을 가졌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는 국제사회의 평화·안보와도 연계돼 있다"며 "(남북이) 갈등과 대립을 넘어 대화와 협력의 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유엔이 지원해달라"고 당부했다고 대통령실이 보도자료를 통해 전했다.
이에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한국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해 "현명한 접근"이라고 평가하고 유엔도 적극적으로 지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은 "오늘 기조연설에서 밝힌 바와 같이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원조를 하는 나라로 발전한 한국이 앞으로 국제사회에서 큰 역할을 하겠다"며 역량 있는 한국 인재들의 국제기구 진출이 더욱 확대되도록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국제사회가 분열된 상황에서 한국 정부가 유엔에서 지혜롭고 균형 잡힌 목소리를 내면서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며 "인도적 지원,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SDGs) 달성, 인권, 가자 및 우크라이나 등 주요 현안 대응에서 한국은 신뢰받는 파트너"라고 평가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회담했다. 이 대통령이 미르지요예프 대통령과 악수를 나눈 뒤 "통화를 했는데 이렇게 직접 뵙게되니 반갑다"고 말하자,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감사하다"라고 화답했다.
이 대통령은 "양국이 철도, 공항, 도로를 포함한 교통·인프라를 비롯해 핵심광물 등 공급망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면 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또 "우즈베키스탄 내 17만여명의 고려인이 정·재계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양국 관계발전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며 이들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파벨 체코 대통령과 회담을 가졌다. 이 대통령은 "양국 간 협력이 원전(핵발전)을 넘어서 반도체, 전기차, 방산 등으로 확대되어 호혜적으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특히 파벨 대통령은 지난 6월 체코 두코바니 신규 핵발전소 건설 최종 계약이 체결된 것을 언급하며 "우리가 한국 기업의 우수한 능력을 높이 평가한 것"이라고 화답했다.
위 정상회담에는 위성락 국가안보실장과 김용범 정책실장, 임웅순 국가안보실 2차장 등이 배석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