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헌 의원 "국익 걸린 기관 해킹 노출, 전방위적 보안 체계 재정립해야"

"SKT·KT는 빙산의 일각"…국가 연구기관 10년 간 해킹 시도 2776건

최근 SKT·KT 해킹 사고가 알려진 가운데 국가 연구기관까지 지난 10년 간 2700여 건의 해킹 공격에 노출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국가안보 차원의 대응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정헌 의원실이 15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산하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S&T-CSC)로부터 제출받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및 소속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23곳의 2016년~2025년 8월 사이버 공격 시도 현황’에 따르면 이 기간동안 총 2776건의 해킹 시도가 발생했다.

기관별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28건 △한국과학기술연구원 341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309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39건 △한국재료연구원 173건 △한국기계연구원 160건 △한국화학연구원 154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144건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08건 등 9개 기관에서 100건 이상 공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연구기관은 전자통신, 원자력, 핵융합, 화학, 생명공학, 보안기술 등 국가 첨단기술과 직결되는 분야를 다루고 있다. 사이버 공격이 성공할 경우 단순한 정보 유출을 넘어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과 안보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다.

실제로 지난 8월, 해외 보안 전문 매체 프랙(Phrack)은 북한 해킹 조직 ‘김수키(Kimsuky)’가 행정안전부, 외교부, 통일부, 해양수산부 등 정부 부처와 통신사를 대상으로 공격을 시도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국가 기반시설뿐만 아니라 정부 핵심 부처와 연구기관까지 이미 공격의 사정권 안에 들어와 있음을 보여준다.

이정헌 의원은 "통신사뿐만 아니라 국가 주요 기관에 대한 전방위적 사이버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며 "특히 핵심 국익이 달린 과학기술·정보통신 분야 정부 기관들이 해킹 위험에 노출된 것은 중대한 안보 위협"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SKT, KT 사태는 빙산의 일각이며 더 큰 중장기적 사이버 공격 위협에 대한 대응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지적하면서 "통신 인프라를 포함해 행정부, 연구 기관, 민간 기업까지 총망라하는 사이버 보안 체계의 대대적 재정립을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정헌 의원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최인

전북취재본부 최인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