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법사위원장인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김병기 원내대표를 향해 "정무적 판단으로 늘 본질을 보지 못한 지난 정권의 우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고 비판했다.
추 의원은 1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통령의 취임 100일을 앞두고 정부조직법을 순산시키려는 판단을 했을 수도 있다. 가까이 모시는 사람들의 입장에서는 그럴 수도 있다. 그런 충정과 진정성은 의심하지 않는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그는 "그러나 대통령의 말씀처럼 민주공화국의 본질을 훼손하려한 것에 대한 진상규명을 해야하는 특검법은 교환 대상이 아니라는 판단을 당과 진지하게 했어야 했다. 그것을 놓친 점은 매우 안타깝다"며 "그일 이후 지금까지 '법사위 법안이니 당연히 법사위원장과도 사전 상의했겠지, 왜 책임을 회피하느냐'하는 문자가 쏟아지고 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사실 제일 듣기 싫은 소리가 책임회피다. 최소한 그런 소리를 듣지 않으려고 정치 일생 동안 노력해 왔다"며 "10일 오후 5시 44분 경에 갑자기 원내대표의 발신전화가 무음 처리된 휴대폰 화면에 떴다. 위원장으로서 회의 진행 도중이었으나 뭔가 급한 일이라고 짐작되어 용수철처럼 튕기듯 일어나 간사에게 자리를 맡기고 회의장 밖으로 나갔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알아듣기 어려운 다급한 말로 뭐라 하는데 그때까지 여야간 원내합의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조차 몰랐던 나로서는 일단 다 '금시초문'이라고 답했다. 그리고 자세한 내용은 체크해 보고 확인한 후 답을 주겠다고 했을 뿐"이라며 "그리고 다시 위원장 자리로 돌아왔는데 그로부터 1시간 정도 지날 무렵 갑자기 보좌관이 여야 합의 속보가 떴다고 내게 알려 주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아마도 원내대표단은 마감 시한을 설정해두고 매우 서둘렀던 것 같다. 지나친 성과 욕심에 점검해야할 것을 놓친 것으로 보여 안타깝다"면서 "누구나 실수 할 수 있다. 그러나 왜 실수했는지 복기해보고 다시 그 같은 일이 안 일어나게 한다면 이보다 더 보약은 없다. 실수를 마주하는 것도 큰 용기다"라고 조언했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지난 10일 국민의힘과 협의해 수사 기간 연장을 추가로 허용하지 않고 인력 증원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민주당안의 3대 특검법 개정안을 수정키로 했다. 그러나 당내 강경파 의원들과 지지층, 정청래 대표까지 '수용 불가' 입장을 밝히면서 비난이 집중됐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