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금속노동조합 광주전남지부가 오는 16일 오후 광주시청 앞 도로에서 총파업 대회를 개최하고 윤석열 정부 때 실시된 노동 적대 정책 폐기와 노동법 개정을 요구하는 공동행동에 돌입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총파업은 금속노조 전체가 참여하는 전국 단위 파업의 일환으로 광주전남지부는 조합원 약 3500여명이 참여할 예정이며 △지역 제조업 공동화 저지 △노조법 2·3조 개정 △노동탄압 분쇄를 주요 의제로 내세웠다.
총파업은 금호타이어, 광주글로벌모터스(GGM), 삼성전자서비스,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모비스 광주지회 등 주요 제조업체 노동자들이 2~8시간 부분파업을 진행하며 참여할 예정이다.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광주 제조업 공동화 현상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대기업이 잇따라 철수하고 지역 내 기업들의 투자와 고용도 줄어드는 가운데 노동조합의 기본권마저 제한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광주·전남의 제조업 위기로 삼성전자 가전부문 베트남 등 해외 이전, 위니아 파산, 금호타이어 광주 화재, 전남 여수 석유화학단지도 고용위기 지역 실사단계에 있음을 예로 들었다.
또 GGM 노조 지회장의 부당징계·보직해임, 벤츠 딜러사 신성자동차 영업직 조합원 17명 부당해고, 콘텐트렌즈 생산업체 지오메디칼 노조 지회장, 교선부장 해고 등을 노동위에서 부당노동행위로 결정했음에도 이행을 거부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정책에 있어서 지부는 윤석열 정권이 노조를 압박하는데 사용한 '회계공시와 타임오프' 폐기를 촉구했다. 회계공시로 조합비 사용을 공개토록 세무조사나 감사로 탄압했고 타임오프제로 전임자 수와 활동시간을 국가가 정해놓은 한도 내로 제한해 조합의 활동을 제한했다는 주장이다.

단체는 또 "노조법 2·3조 개정 등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노조법 2·3조는 사용자 책임 범위와 손해배상 청구 제한 등을 담고 있다.
이어 "이재명 대통령 공약인 산별교섭·초기업교섭과 단체협약 효력 확장의 국회 논의를 신속하게 시작해야 할 것"이라며 "김영훈 장관 후보자가 밝힌 '노사자치'의 원칙이 실현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광주 제조업 공동화를 막기 위한 구조적 대책이 부재한 가운데 기후위기와 전쟁, 산업재편 등 복합요인이 지역경제를 위협하고 있다"며 "총파업을 통해 기후위기에 대비한 '온전한 작업중지권'을 쟁취할 것이며, 새 정부는 노조탄압을 중단하고 노조할 권리를 인정해 달라"고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