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관서 조리원까지”…전북도, 산후건강 지원체계 전면 개편

산후건강관리 지원사업 사용처 확대…공공산후조리원도 권역별 확충

▲남원 공공산후조리원 조감도. ⓒ전북특별자치도


출산 이후 산모 건강 회복과 양육 부담 경감을 위한 공공 지원의 손길이 넓어지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가 산후 건강관리 지원사업의 사용처를 산후조리원까지 확대하고, 의료 접근성이 낮은 지역을 중심으로 공공산후조리원 건립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전북도가 시행 중인 산후건강관리 지원사업은 출산 1년 이내 산모에게 1인당 최대 20만 원을 지원하는 제도로, 도내 출산가정이면 소득과 무관하게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기존에는 산부인과나 한방의료기관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지만, 올해부터 산후조리원까지 지원 범위가 확대됐다.

전북도에 따르면 2025년 5월 말 기준 이 제도를 통해 총 1834명의 산모가 혜택을 받았다. 출산 이후 조리원 이용이 일반화된 현실을 반영해 지원 대상 시설을 넓힌 것이 도민들 사이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북도는 이와 함께 공공산후조리원 건립도 권역별로 단계적으로 추진 중이다. 현재 동부권인 남원시에 지하 1층, 지상 4층(연면적 2410㎡) 규모의 조리원이 건립되고 있으며, 2025년 10월 개소를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이다.

서부권 정읍시에는 지하 1층, 지상 3층(연면적 1693㎡) 규모로 조성되며, 현재 실시설계 및 인허가 절차가 이뤄지고 있다. 완공 시점은 2026년 12월로 예정돼 있다. 북부권 익산에는 모아복합센터와 연계된 형태의 공공산후조리원이 2027년 완공을 목표로 계획돼 있다.

공공산후조리원은 민간 산후조리 시설 이용이 어려운 지역에서 산모들에게 양질의 조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이용료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남원과 정읍의 조리원은 각각 남원의료원과 정읍아산병원 인근에 위치해 있어 분만과 신생아 응급진료와 연계한 통합적인 산후돌봄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김정 전북자치도 건강증진과장은 “출산 전후 전 과정에 걸친 촘촘한 지원체계를 통해 산모가 경제적 부담 없이 건강을 회복하고, 아이를 안심하고 키울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보편성과 공공성을 갖춘 산후돌봄 정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읍 공공산후조리원 조감도. ⓒ전북특별자치도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양승수

전북취재본부 양승수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