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기준으로 한국의 65살 이상 주민등록인구는 1024만4550명이다. 이는 전체 인구(5122만1286명)의 20%를 넘긴 수치다. 문제는 속도다. 2000년 전체 한국인 중에서 65살 고령자 비율은 7.3%였다. 약 24년 만에 세 곱절로 뛴 셈이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다. 프랑스가 154년, 독일이 76년 걸렸다. 한국의 늙는 속도는 이전 가장 빨랐던 일본보다도 11년 앞선다.
그래서인지 한국의 노인빈곤도 선진국에서 압도적인 1위다. 65살 이상 노인 빈곤율은 40.4%(2020년)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14.2%)보다 3배 가까이 높다. 대표적 노후소득보장 제도인 국민연금의 역사가 짧고 기초연금이나 각종 복지정책 등이 빈약하기 때문이다.
자연히 일하는 노인 비중은 지속해서 커지고 있다. 2017년 30%에서 2023년 39%까지 치솟았다. 그에 발맞춰 주로 노인이 택하는 직업인 경비원 숫자도 늘어나는 추세다. 경찰청에 따르면 2023년 기준으로 시설경비원은 18만9142명을 기록했다. 이들은 서울과 경기도, 부산 등 주요도시에 포진해 있다. 60대(6만4706명)와 70대 이상(5만234명)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매우 열악한 조건에서 경비일을 하고 있다. <프레시안>이 김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받은 재해조사서를 보면, 2024년 한 해 동안 경비 일을 하다 뇌심혈관계질병, 즉 과로로 사망한 경비원은 31명이다. 이는 전체 직종에서 압도적 1위다.
이들이 어떤 환경에서, 그리고 어떤 일을 하다가 사망했는지를 하나하나 살펴본다. ([아파트에서 쓰러지다] 관련기사 ☞ : [단독] 눈치우다가 '쿵', 순찰 중에 '쿵'… 작년 과로사 압도적 1위는 아파트 경비원)
김인수(가명, 72) 씨는 아파트 경비원이다. 2개동 5개 라인으로 이뤄진 216세대 아파트로 비교적 작은 단지이나 업무는 적지 않다. 경비원 김 씨의 주요 업무는 순찰이다.
매일 아침 지하 4층부터 지하 1층까지 각 층 주차장을 돌아본 뒤, 5개 라인별 옥상까지 올라가 1층까지 내려오며 순찰을 진행한다. 순찰할 때는 라인별 옥상과 각층 지하 주차장 입구, 2층 경로당 앞과 상가 건물 앞에 부착된 각각의 순찰기록지에 모두 사인해야 한다. 제대로 순찰했는지 확인하는 일종의 감시 도구다.
방문자 차량 입·출차 관리도 김 씨 업무다. 오래된 아파트이기에 주차 인식시스템이 설치돼 있지 않다. 진입 차량을 일일이 확인한 뒤 주차 차단기를 열어줘야 한다. 방문 차량의 경우, 기록지에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와 출입 목적을 기재해야 한다.
불법주차 단속과 장애인 주차구역 감시도 김 씨의 일이다. 배달원이 아무 곳에나 오토바이를 세워놓지 않도록 살피기도 해야 한다.

재활용품 분리수거에 제설작업, 낙엽수거까지…
재활용품 분리수거도 김 씨의 주요 업무다. 주민들이 재활용 쓰레기를 대강 분류해 버리면 김 씨는 쓰레기가 정확히 분류됐는지 점검해야 한다. 페트병에 붙은 비닐과 박스에 붙은 송장과 테이프를 떼는 일은 주민들이 해야 하지만 대다수는 하지 않는다. 자연히 김 씨의 일이 되어버렸다.
그렇게 제대로 된 분리수거 작업을 마치면, 재활용품이 들어 있는 비닐을 묶어 수거 차량 작업장 옆에 쌓아 놓는 게 업무의 마무리다. 이 작업까지 대략 1시간~1시간 30분 정도 걸린다. 재활용 쓰레기장이 아파트 입구에 있기에 잘 정리하지 않으면 수시로 민원이 들어온다. 그렇기에 김 씨는 더욱 꼼꼼히, 신경 써서 작업을 한다.
민원이 들어올 경우, 자칫 재계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김 씨의 계약은 6개월 단위로 연장된다. 자연히 아파트 입주민과 관리소장 눈치를 봐야 한다.
경비실에 앉아 있다고 쉬는 건 아니다. 경비실 내 10개의 CCTV 화면을 수시로 확인하며 아파트 내에 특이 사항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계절별로 할 일도 다르다. 가을에는 단지 내 낙엽을 치워야 하고 겨울에는 제설작업, 즉 눈이 오면 염화칼슘을 뿌리고 빗자루로 눈을 치워야 한다. 그렇게 외부 일을 하고 경비실로 들어오면 '경비실을 비우고 어딜 갔느냐'는 민원이 어김없이 들어온다. 하늘에서 떨어지는 모든 게 싫은 김 씨다.
김 씨는 2교대로 격일 24시간(오전 5시 30분~다음날 오전 6시) 근무한다. 점심시간(11시 30분~오후 1시)과 저녁시간(오후 6시~ 저녁 8시)이 휴게 시간이지만, 밀려오는 민원들로 사실상 쉬지 못한다. 특히 저녁 시간이 그렇다.
시도 때도 없이 들이닥치는 입주민 민원과 아파트 관리소장의 지시
대표적인 게 택배 업무다. 택배원이 경비실에 택배를 맡길 경우, 입주민이 경비실에 찾아와 서명 날인을 한 후 물품을 수령해 가는데, 이것을 일일이 확인해야 한다. 입주민들이 보통 퇴근 후 택배를 찾아가기에 저녁 시간은 휴게 시간이 아닌 대기시간이다.
층간소음, 쓰레기, 불법주차 등 시도 때도 없이 들이닥치는 입주민 민원과 아파트 관리소장의 지시도 김 씨의 휴게 시간이 보장받지 못하는 요소다. 아파트 내 휴게실이 마련돼 있으나 제대로 이용하지 못한다.
야간순찰도 해야 하기에 경비원들은 밤에 휴게실에서 수면을 취한다. 김 씨의 아파트는 밤 10시부터 다음 날 새벽 5시까지를 휴게 시간으로 정해놓았다. 하지만 숙면을 이루기는 어렵다. 휴게실 내부는 온도조절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한겨울에는 실내온도가 12도에 불과하다.
그렇게 일하던 중 사달이 났다. 평균기온 영하 7도를 기록한 설 연휴 전날이었다. 연휴 관계로 늘어난 외부 차량과 택배 배송 물량, 그로 인해 평소보다 2배 이상 늘어난 재활용 쓰레기로 김 씨는 더 오랜 시간 야외에서 일해야 했다.
그래서일까. 김 씨는 저녁 8시 45분께, 재활용쓰레기 분리수거장에서 일하던 중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 그리고 약 8분 뒤 쓰레기를 버리러 나온 입주민에게 발견돼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사망했다.

주말 휴일 없이 격일로 하루 15시간 30분씩 일하다 결국…
김 씨의 사인은 가슴 통증, 호흡 곤란, 어지럼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심근경색이었다. 심장 근육에 혈액과 산소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막히거나 좁아져 심장 근육이 손상되는 질환으로 뇌출혈, 뇌경색과 함께 대표적인 과로사 질병이다.
과로사의 원인으로는 장시간 노동시간과 높은 노동강도, 수면부족, 교대근무, 열악한 작업환경 등이 꼽힌다. 김 씨의 경우 이런 조건을 모두 충족했다. 주말 휴일 없이 격일근무를 하는 김 씨는 하루 15시간 30분씩 일해야 했다. 연차도 사망 전 3개월 동안 단 하루 사용했다.
이러한 구조는 김 씨에게만 국한된 게 아니다. <프레시안>이 김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받은 재해조사서를 보면, 2024년 한 해 동안 경비 일을 하다 뇌심혈관계질병, 즉 과로로 사망한 경비원은 31명이다. 이들 중 6명은 사망 석 달 전부터 1주당 평균 70~80시간씩 일을 했고, 또다른 6명은 60~70시간씩 일해야 했다. 50~60시간(14명) 일한 이들이 가장 많았고, 40~50시간(5명) 일한 경비원이 가장 적었다.
이들 모두는 주말휴일 없이 아침에 출근해 다음날 이침에 퇴근하는 2교대·격일 근무제였다.
"고령에 장기간 근무로 피로도 높을 수밖에"
장기간, 그리고 24시간 격일 교대근무도 문제지만 '업무 과다'도 과로사의 주요 원인이다. 재해조사서를 보면 경비원 김인수 씨뿐 아니라 대다수가 경비 이외의 일을 하다 세상을 떠났다.
일을 마치고 새벽에 귀가하다 심근경색으로 사망한 경비원 A씨의 경우, 아파트에서 순찰 등 일반적인 감시·단속 업무 이외에도 불법주차 단속, 공원·화단·지하주차장·인도·놀이터 등에서의 쓰레기 수거 및 청소 작업, 출퇴근 시간대 정문 교통 정리, 제설작업, 약 100개 이상 스티로폼 꽂이 등 비품 제작 작업, 재활용 분리수거, 집하장 비닐마대 및 플라스틱 적재 및 정리작업, 비닐마대 등 출하작업 및 주변 청소, 낙엽 청소, 계단 및 고무깔판 평탄화 작업, 입주자 대표회의 소집공고 등 게시물의 승강기 게시판 부착작업, 관리비명세서 등 배포작업, 낙엽마대 적재작업, 염화칼슘 적재작업, 제초작업, 주민 민원 응대, 소등 및 잠금장치 확인 등을 상시로 해왔다.
경비실과 화장실에서 뇌출혈로 각각 사망한 경비원 B씨나, C씨도 A씨와 같은 업무를 해왔던 것으로 확인됐다.
홍석빈 영등포구노동자종합지원센터 사업추진팀 팀장(노무사)은 "경비원들이 24시간 교대로 근무하는데, 적게는 15시간, 많게는 18시간 동안 일하는 식"이라며 "고령에 장기간 근무를 하다보니 피로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홍 팀장은 "이런 상황에서 재활용 업무나 청소 등 경비업무가 아닌 일들이 과다하게 이들에게 부여돼 있다"며 "이런 구조이다보니 많은 경비원이 쓰러지는 게 현실이다"라고 설명했다. (계속)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