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진법사' 전성배 씨 자택에서 한국은행 비닐로 포장된 현금을 포함 1억 6500만 원 상당의 현금 뭉치가 발견돼 검찰이 출처를 추적하고 있는 것으로 23일 알려졌다.
서울남부지검은 지난해 12월 건진법사의 주거지에서 지폐 3300매(1억 6500만 원 상당) 오만 원권 묶음을 압수했다. 그 중에서 5000만 원 상당의 신권은 '한국은행'이 적힌 비닐로 포장된 상태였고, 비닐 포장에는 2022년 5월 13일이란 날짜와 함께 기기 번호, 담당자, 일련번호 등이 적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중에서는 볼 수 없는 뭉칫돈이다. 2022년 5월 13일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취임한 3일 후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이 현금 뭉치 형태와 관련해 "해당 포장 상태는 금융기관으로 나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실에 따르면 한은은 "담당자, 책임자, 일련번호는 지폐 검수에 쓰이는 것으로 일련번호만으로 현금이 어디로 나간 것인지 알 수 없다"고 했다. 실제 신권을 밀봉해 개인에게 전달하는 경우는 절대 있을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개인 출처로 보기 어려운 돈인만큼, 해당 뭉칫돈이 누구에 의해 어떻게 건네지게 됐는지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해당 돈의 '용처'가 어디일지 역시 의문이다.
검찰은 건진법사가 윤석열 정부 시절 다수의 인사들로부터 금품을 수수하고 유력자에게 인사 청탁을 하는 등 '브로커' 역할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건진법사는 2018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경북 영천시장 경선 예비 후보로부터 1억 원을 챙긴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데, 최근에는 윤 전 대통령과 친분을 과시하며 '윤핵관' 의원을 통해 공천을 청탁한 혐의 등을 받고 있다. 검찰은 지난해 건진법사의 서울 강남구 소재 법당과 서초구 소재 주거지를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대기업 임원, 정치권 관계자, 검사, 법조인, 경찰 간부 등 명함 수백 장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또한 건진법사의 이른바 '법사폰'으로 알려진 휴대전화 3대와 태블릿 PC 2대를 포렌식하면서 각종 인사 청탁이 의심되는 물증들을 확보했다.
건진법사와 윤 전 대통령의 관계도 주목된다. 건진법사는 지난 대선 당시 윤석열 캠프 네트워크 본부 상임고문으로 활동했다. 건진법사가 윤 전 대통령의 등을 툭툭 치며 사람들을 소개하는 영상이 공개되기도 했다. 당시 대선 후보였던 윤 전 대통령은 "당 관계자한테 그분을 소개받아서 인사를 한 적이 있는데, 스님으로 저는 알고 있고. 법사라고 저는 들었다. (비선 논란은) 참 황당한 얘기다"라고 설명한 바 있다.
하지만 건진법사가 윤 전 대통령의 배우자 김건희 전 코바나 대표가 운영하는 코바나의 고문 명함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났지만 윤 전 대통령은 당시에도 "금시초문"이라고 잡아 뗐다.
건진법사가 최근 윤 전 대통령의 장모(김건희 모친)인 최은순 씨와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통화했던 사실도 드러났다. 특히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 사흘 후인 12월 6일에도 40분 넘게 연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