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룰이 권리당원 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 합산 방식으로 확정됐다. 이에 김두관 전 의원이 "경선을 거부한다"며 이탈, 경선 구도는 룰 수용 입장을 밝힌 이재명 전 대표와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동연 경기지사 3인의 경쟁으로 압축됐다.
민주당 중앙위원회는 14일 오후 회의를 열고 제21대 대선 경선 관련 특별당규 제정의 건이 중앙위원·권리당원 투표에 의해 찬성 96.56%, 반대 3.44%로 가결됐다고 밝혔다.
해당 경선 룰은 민주당이 지난 19·20대 대선 당시 대의원·당원·비당원 구분 없이 1인 1표제를 도입해 진행한 '국민경선' 룰에서, 선거인단 제도를 여론조사로 대체한 '국민참여경선' 룰이다.
해당 룰에 따라 이번 경선에선 최근 1년 사이 6개월 이상 당비를 낸 권리당원 110만 명에게 50%의 투표권이 부여된다. 나머지 50%는 2개 여론조사 업체가 각 50만 명씩 100만 명 분의 여론조사를 진행해 합산한다. 즉 권리당원에게 50%의 투표권이 우선 배정되는 것.
앞서 당내 친명(親이재명)계 인사들은 역선택 방지 우려 등을 이유로 국민참여경선 도입을 주장해왔고, 비명계 후보들은 이에 반대해왔다. 당 안팎에선 해당 룰을 두고 당세가 강한 이 전 대표에게 지나치게 유리한 이른바 '어대명 경선룰'이란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비명계 주자인 김두관 전 의원은 이날 경선룰 확정 직후 페이스북에 올린 입장문을 통해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저버린 민주당 경선을 거부한다"며 "당분간 국민과 나라를 위해 제가 어떤 정치적 행보를 하는 것이 좋을지, 조언도 듣고 깊은 숙고의 시간을 가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전 의원은 특히 당 지도부를 겨냥 "후보들과 협의 없는 경선룰은 특정 후보를 추대하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며 "'의원총회에서 후보를 뽑겠다고 결정했다'면 차라리 민주당이 더 솔직해졌다고 생각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사실상 이 전 대표를 위한 룰 결정 과정이었다는 것.
그는 지도부가 국민참여경선의 명분으로 든 역선택 방지 등에 대해서도 "신천지가 두렵고 전광훈이 무서운데 무슨 선거를 치르겠나? 차라리 신천지와 사랑제일교회 명단에 오른 사람은 참정권을 박탈하겠다고 하는 게 더 솔직한 선택 아닌가", "역선택이 민주당 경선에서 언제 있었나"라고 지적했다.
김 전 의원은 본인이 주장한 '완전개방형 오픈프라이머리'를 당 선관위가 거부한 데 대해서도 "후보측과 어떤 설명이나 논의도 없이 '오픈프라이머리 불가'를 발표했다"고 했다.

반면 같은 비명계 주자인 김경수 전 경남지사와 김동연 경기지사는 룰 수용입장을 밝혔다.
김 지사는 이날 룰 확정 직후 본인 대선 캠프인 여의도 대산빌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무거운 마음이지만 당원 여러분들께서 결정해주신 만큼 경선룰이 정해진 것을 따르고 수용하도록 하겠다"며 "그동안 여러가지 일들이 있었지만 가슴에 묻고 오늘 이후로는 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김 지사는 룰 수용 입장을 밝히면서도 "민주당의 원칙인 국민경선제가 무너진 점에 대해서 대단히 안타깝다. 무엇보다도 국민 여러분을 실망시켜드린 점이 아주 뼈아프다"고 말해 당의 결정을 비판했다.
김 지사는 '역선택을 방지하고 당원 중심 정당이 돼야 한다는 경선룰 명분에 대해 동의하나' 묻는 질문에도 "민주당이 지금 특정 종교단체나 역선택 우려로 걱정할 정도의 그런 상황은 아니다", "당의 전통은 당직은 당원에게, 그리고 선출직이나 이런 건 국민에게 맡기는 게 원칙이었다"며 "두 가지 논리에 대해 저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경선룰 변경 과정에 대해서도 "결정된 경선룰은 사전에 우리 후보자들 간에 어떤 협의도 없었다", "협의가 없었다는 점은 중대한 절차의 흠결"이라고 비판했다. '이 전 대표에게 유리한 룰'이라는 세간의 지적에도 "(이번 룰이) 어떤 의도에서 이렇게 만들어 졌는지는 저도 알지 못하지만, 안 그래도 경선룰에 의해 특정인의 유불리가 갈린다고 하는 점은 여러 방송을 통해서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해 우회적으로 동의했다.
김 전 지사도 이날 오전 문화방송(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경선룰 수용 여부에 대해 "경선룰이 일종의 샅바싸움이다. 샅바싸움은 길게 하는 게 좋지 않다"며 "당이 결정하면 따르는 것이 당원의 도리"라고 수용 입장을 밝혔다.
김 전 지사 역시 다만 "국민참여경선의 취지를 살리려면 역선택이라든지 이런 우려들을 많이 하지 않나. 그런 우려가 없는 우리 당원들의 참여폭은 좀 더 충분히 확대하는 것이 좋겠다"며 투표 참여 당원의 범위가 확대돼야 한다는 취지로 말하기도 했다.
그는 "최근 6개월 동안 당비를 한 번이라도 낸 당원이라면 저는 이번 같은 경우에는 오히려 국민참여경선의 여러 가지 문제로부터 자유로운 그런 분들 아니겠나"라며 "그런 분들 정도는 참여할 수 있도록 폭을 확대하는 것이 맞지 않냐. 그런 부분을 고려해 달라라고 요청을 해놨다"고 했다.
한편 김 전 지사는 이날 서울현충원을 찾아 김대중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고는 "여야가 장소만 빨리 합의하고 정부가 바로 이전 작업에 착수한다면, 이번 조기 대선으로 선출되는 다음 대통령은 취임과 동시에 용산이 아닌 다른 집무실에서 임기를 시작할 수 있다"며 대통령실 이전 공약을 발표하기도 했다.
김 전 지사는 현충원 참배 이후엔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을 방문해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에 참배하고, 이후엔 경남 양산시 평산마을을 찾아 문재인 전 대통령을 예방하는 등 대선 행보를 이어나갔다.
이날 이재명 전 대표는 강남구 소재 기업 '퓨리오사AI'를 찾아 인공지능 산업 분야 시찰 및 간담회를 진행, 출마선언 당시 강조한 성장·경제 행보를 이어나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