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재한 농촌진흥청 청장이 31일 "반려동물 사료 영양표준 설정으로 정책과 제도를 뒷받침하고 사료산업 전반에 경쟁력이 강화돼 반려동물 사료 수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K-반려동물 사료' 품질 기준으로 자리 잡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재한 청장은 이날 충북 음성군에 있는 반려동물 사료(펫푸드) 생산업체 '㈜우리와'를 방문해 국내 반려동물 사료산업 육성 방안을 논의하며 이같이 강조했다.
권 청장은 이번 현장 방문에서 농촌진흥청이 추진해 온 국내 반려동물 사료 영양표준 개발 등 주요 연구 성과를 소개했다. 이어 2026년부터 본격 시행을 목표로 하는 '반려동물용 사료 표시 기준'을 언급하며 철저하게 대응해 달라고 당부했다.

권 청장은 "농촌진흥청은 반려동물 사료산업 제도 개선과 육성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 국내 최초로 반려동물 사료 영양표준을 설정해 공개했다"며 "반려동물 사료 영양표준은 반려동물이 건강한 생활과 정상적인 생리 상태를 유지하는 데 꼭 필요한 필수영양소의 최소 권장 수준을 제시한 지침"이라고 설명했다.
'반려동물용 사료 표시 기준' 마련은 정부가 반려동물 연관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추진 중인 펫푸드와 펫헬스케어 등 4대 주력산업 중 반려동물 사료인 펫푸드 분야와 관련이 있다.
반려동물의 영양학적 요구사항을 반영해 가축용 사료와는 명확히 구별되도록 했다.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반려동물 사료 영양표준과 연계해 산업현장에 적용될 예정이다.

'㈜우리와'는 국내 최고 수준의 반려동물 사료 제조 시설을 갖추고 연간 최대 12만 톤의 반려동물 먹이를 생산하고 있다. 반려동물용 사료 표시 기준 마련 작업에도 전문 인력을 참여시켜 의견을 개진하는 등 농촌진흥청과의 공동 연구 사업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최광용 ㈜우리와 대표는 "농촌진흥청이 제시한 반려동물 사료 영양표준을 적극 활용해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고, 국산 반려동물 사료 품질 향상과 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