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록 전남도지사가 19일 광주지역의 초청강연에서 "국회의원, 장관, 도지사 좋은 세 자리를 거치면서 더 역할을 해야 한다는 큰 짐을 항상 안고 있었다"면서 대권 도전 의지를 피력했다.
김 지사는 이날 제263회 산학협동포럼 초럼 특강에서 '더 위대한 전라남도를 위한 힘찬 도약'이라는 주제로 강연에 나서 "대한민국은 압축적인 성장을 이뤘지만, 12·3 계엄으로 하루 아침에 국격이 떨어지면서 정치 후진을 여실히 드러냈다"며 "쇠퇴한 김대중 정치를 되살려 과거 민주화를 주도했던 호남이 주축이 돼 새 대한민국을 건설할 수 있도록 모든 것을 걸고 뛰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전라선 예타 대상 사업 선정 ▲예산 및 소득 수준 향상 ▲관광객 유치 등 그간의 성과를 비롯해 ▲AI 전나 슈퍼클러스터 구축 ▲청년 벤처 창업 활성화 등 향후 산업 발전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기도 했다.
김 지사는 "국가 철도망 사업 추진 상황만 보더라도 (군산에서 목포는 돼 있는 데 목포에서 군산은 빠져 있는 등) 호남 소외를 여실히 볼 수 있을 정도"라며 "최근 전라선 예타 대상 사업이 확정돼 사실상 90% 계획에 반영 시켰고, 보성~순천, 보성~광주 구간도 조만간 해결될 수 있도록 역할을 해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과거 우리 고장 통계를 보면 17개 시도 중 하위권에 머물렀지만, GRDP 8위, 개인 소득 6위 등 중위권에 머물 정도로 수준을 끌어올렸다"며 "예산만 보더라도 7조5000억원에서 12조원대, 관광객도 1억명 유치를 앞두고 있을 정도로 성과를 냈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AI슈퍼클러스터 추진과 관련해 일각에서는 부정적인 시선도 있지만 실패를 무서워서 일을 하지 않는 일 없이 3년 이내 승부수를 띄워 외국계 주요 기업들이 전남으로 들어올 수 도모해 전남은 물론 대한민국의 위상이 달라지도록 하겠다"며 "고용인력 창출을 위해 청년벤처사관학교를 만들어 관련 사업 추진을 적극 권장하고, 재생에너지 활성화를 통해 국내 돈이 돌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강연 후 청중 질의응답 시간에 광주전남 상생과 관련한 한 질문에 "광주 민간·군 공항 이전 부지에 현실적인 대안이 명확히 제시돼야 한다"면서 "아파트 개발단지로 개발한다는 계획은 있을 수 없고, 실증, 연구, 생산 등 융복합산업지구로 일부 개발해 광주 핵심 산업을 할 수 있는 주요 거점으로 만들거나, 무안에서 원하는 MRO산업단지, RE 100국가산단을 만들어 지원하는 안을 제시한다면 가능한 일이어서 도 차원에서도 적극 도울 것"이라고 답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