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지난해 10월 1일부터 시행했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특별방역대책기간을 3월 14일부로 종료한다고 밝혔다.
14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겨울철 방역 강화 조치로 AI 발생 위험이 다소 감소했지만, 철새의 북상 이동이 이어지고 전남과 충남에서도 추가 발생이 확인되는 등 여전히 위험성이 남아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전북을 포함한 전국 7개 시·도(경기,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북, 세종)는 ‘심각’ 단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전북에서는 지난해 12월 김제에서 첫 발생한 이후 67일간 AI가 연이어 발생했으며, 방역 당국은 선제적인 대응으로 추가 확산을 방지하는 데 주력했다. 특히 전북은 전국에서 가금류 사육 규모가 가장 큰 지역(전국 1위)으로, 주요 철새도래지가 인접해 있어 AI 바이러스 유입 위험이 높은 지역 중 하나다.
그럼에도 전북도는 방역 대책 강화를 통해 농장 내 발생 건수를 전년 대비 줄이는 성과를 거뒀다. 오리농가의 동절기 사육 제한, 종오리농장 방역전담관 운영, 거점소독시설 확대, 철새도래지 출입 통제, 주요 도로 및 농장 주변 집중 소독 등의 조치가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지난 2월 군산에서 AI가 발생했을 당시, 전통시장에서의 살아있는 닭·오리 유통을 5일간 전면 금지하고 관련 시설을 긴급 점검해 추가 확산을 차단하는 등 신속한 대응을 펼쳤다.
전북도는 특별방역대책기간이 종료되더라도 철새 이동이 지속되는 만큼, 전국적인 방역 해제 전까지 ‘심각’ 단계를 유지하며 철저한 방역을 이어갈 방침이다.
이에 따라 △재난대책본부·상황실 지속 운영 △예찰·검사 강화(심각단계 검사주기 유지) △육계·육용오리 출하 후 14일 이상 입식제한 적용 △발생시군 입식 전 2단계(도·시군→검역본부) 점검 △철새도래지 집중소독 연장(~3.31일) △거점소독시설 24시간 운영, 20만수 이상 산란계 통제초소 운영 등의 조치를 유지할 계획이다.
최재용 전북도 농생명축산식품국장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AI 방역에 힘써주신 관계기관과 축산농가에 감사드린다”며 “철새 북상이 아직 끝나지 않은 만큼 긴장을 늦추지 말고 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달라”고 당부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