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가 농촌지역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주민 건강 증진을 위해 ‘찾아가는 농촌 왕진버스’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13일부터 도내 10개 시군에서 운영되며 약 9300여 명이 의료 혜택을 받을 예정이다.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이 사업은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농촌지역 주민을 위해 양·한방 진료, 치과·안과 검진, 물리치료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지난해 처음 도입된 이후 의료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해 왔다. 특히 농민, 60세 이상 어르신, 취약계층을 주요 대상으로 실질적인 의료 지원을 펼쳐왔다.
올해는 총사업비 10억 5000만 원을 투입해 31회 운영하며, 개소당 지원 단가를 기존 2400만 원에서 3600만 원으로 상향 조정해 의료서비스의 질을 더욱 높였다. 또한 전북자치도 공공의료기관 및 협약 병원과 협력해 시군별로 최소 3회 이상 방문 진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건강운동관리사를 새롭게 투입해 맞춤형 운동처방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주민들이 보다 체계적으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단순 진료를 넘어 예방과 건강 증진까지 포함하는 종합 의료서비스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전북도는 앞으로도 의료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찾아가는 의료서비스를 확대하고, 지역별 특성에 맞춘 건강관리 시스템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농촌지역의 정주 여건을 개선하고, 주민들이 더욱 안정적인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힘쓸 예정이다.
최재용 전북특별자치도 농생명축산산업국장은 “교통과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농촌지역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의료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사업을 확대할 것”이라며 “농촌 고령화 문제 해결과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