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2025 미래형 원전포럼’ 개최… SMR 산업 선도 박차

SMR 시대, 첨단 기술혁신으로 선도… 전문가 강연·토론 진행

경상북도는 13일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SMR 시대, 첨단 기술혁신으로 선도한다’를 주제로 ‘2025 미래형 원전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는 이철우 경북도지사를 비롯해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 임인철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원장 등 SMR(소형모듈원자로) 관련 산·학·연·관 관계자 30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임인철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원장의 ‘SMR 기술의 요람, 문무대왕과학연구소’를 주제로 한 기조 강연을 시작으로 ▲김종우 두산에너빌리티 원자력 BG 상무의 ‘SMR 사업 현황 및 상업화 전망’ ▲이동형 한국원자력연구원 MSR 원천기술개발사업단장의 ‘탄소중립 선도를 위한 MSR 기술개발’ 등 특별 강연이 이어졌다. 또한 ‘탄소 중립과 미래형 원전’을 주제로 한 전문가 종합토론도 진행됐다.

이날 참석자들은 강연에 앞서 한국수력원자력과 원자력환경공단 홍보관 등 원자력 관련 주요 시설을 방문하는 투어도 함께했다.

SMR은 발전 과정에서 탄소배출이 없고 안전성이 대폭 강화돼 탄소 중립 시대의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2035년 기준 세계시장 규모가 63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경상북도는 국내 최대 SMR 연구기관인 문무대왕과학연구소 설립, 원자력 공동캠퍼스를 통한 전문 인력 양성, SMR 제조·소재·부품·장비 기업 집적화를 위한 국가산업단지 조성, SMR 제작 지원센터 설립 등 산업 생태계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급변하는 세계 원전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규제 기준 수립과 기업 지원 등 SMR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겠다”며 “오늘 포럼이 경상북도 원자력 분야 발전을 앞당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에너지원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에서 원자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도 SMR이 최초로 반영된 만큼 연구·산업·인력 등 기반을 확보해 SMR 산업의 최적지로 도약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경상북도는 3월 13일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SMR 시대, 첨단 기술혁신으로 선도한다’를 주제로 ‘2025 미래형 원전포럼’을 개최했다. ⓒ 경북도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김종우

대구경북취재본부 김종우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