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임신 준비부터 출산 후 건강 관리까지 체계적인 지원책을 강화한다고 5일 밝혔다.
올해부터 가임력 검사 확대, 한방 난임 치료비 지원,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등 다양한 맞춤형 정책을 통해 출산 가정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전북자치도는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을 확대하여 20세에서 49세까지의 남녀 누구나 가임력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기존에는 결혼 여부에 따라 지원이 제한됐지만, 올해부터는 결혼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남녀가 가임력 검사를 통해 건강 위험 요인을 사전에 발견할 수 있다.
지원은 최대 3회까지 가능하며, 여성은 최대 13만 원, 남성은 최대 5만 원까지 지원된다.
또한 난임 부부를 위한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해 난임 시술비 지원을 계속 확대하고, 한방 난임 치료비 지원도 새롭게 시작된다.
한방 치료비는 한약, 침, 뜸 등으로 1인당 최대 180만 원까지 지원되며, 난임 시술비는 연령에 관계없이 1회당 최대 110만 원까지 지원되며, 최대 27회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산후 건강 관리 지원도 강화된다. 기존에는 산부인과와 한의원 의료비만 지원되었으나, 올해부터는 산후조리원 이용료까지 지원 대상에 포함되어 산모의 선택권이 대폭 확대됐다.
출산 가정은 1회 최대 20만 원의 ‘산후 건강관리 쿠폰’을 발급받아 도내 지정 산부인과·한방과 의료기관은 물론, 산후조리원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산후조리원이 부족한 동부권(남원시)과 서부권(정읍시)에는 공공산후조리원이 건립된다.
공공산후조리원에서는 도내 출산 가정 누구나 이용료의 30%를 감면받을 수 있어, 경제적 부담을 크게 덜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남원시는 2025년 10월, 정읍시는 2027년 1월 개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김정 전북자치도 건강증진과장은 “임신부터 출산 후까지 전방위적인 지원을 강화해 출산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보다 건강한 출산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