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대한 도전의 쾌거였다. 지나온 길은 험난하고 고통스러웠지만 결과는 완벽한 승리였다.
전북특별자치도가 2036 하계올림픽 국내 후보지로 최종 확정되면서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대표로 국제무대에 서게 됐다.
28일 대한체육회 정기대의원 총회에서 총 61명의 대의원이 투표한 결과 전북이 49표를 획득하며 서울(11표)을 압도적인 표차로 이겼다.
이는 국가 균형발전과 전북의 국제적 위상을 드높일 중요한 전환점이자, 도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체계적인 전략이 만들어낸 값진 성과다.
전북의 올림픽 유치는 단숨에 이뤄진 것이 아니다. 2023년 6월 ‘2036 올림픽 유치 타당성 검토 연구’ 용역을 시작으로, 2024년 5월 국제대회 유치를 위한 체육시설 및 소요 재원 분석, 7월 올림픽 대회시설 적합성 간이 조사를 거치며 철저한 준비를 이어왔다.
2024년 9월 대한체육회가 ‘2036 하계올림픽 국내 후보도시’ 공고를 발표하자 전북은 즉각 TF를 구성하고 개최 계획서를 수립하는 등 본격적인 유치 경쟁에 나섰다.
특히 수도권 중심이 아닌 지역 균형발전을 내세운 ‘비수도권 연대’ 전략이 주효했다.
전북은 광주, 전남, 충남, 충북, 대구 등과 협력하며 주요 시설물 사용 승낙서를 확보하는 등 공동 개최의 가능성을 극대화했다. 김영록 전남지사, 김태흠 충남지사, 강기정 광주시장, 홍준표 대구시장이 영상 메시지를 통해 전북의 유치를 공개 지지하며, 연대의 힘을 보여주기도 했다.
도민들과 함께한 유치 캠페인도 성공의 큰 요인이었다.
‘GBCH 챌린지(Go Beyond, Create Harmony)’를 통해 다양한 연령층이 참여하며 유치 열기를 높였고, 홍보대사 위촉, SNS 캠페인, 그림 공모전, 문화 공연 등을 통해 올림픽 유치의 당위성을 널리 알렸다.
1월 한 달간 진행된 챌린지에는 재외동포를 포함해 500명이 넘는 인원이 참여하며 국내외적인 관심을 이끌어냈다.
2036 하계올림픽이 전북에서 개최될 경우, 지역 경제·사회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도로 및 철도망 확충, 체육시설 신축 및 개보수, 관광 인프라 개선 등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예상되며,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북 내 생산유발효과 27조 9천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12조 9천억 원, 취업 유발효과 37만 4천여 명이 창출될 것으로 추산된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이번 올림픽 국내 후보지 선정은 도민들과 함께 만든 성과”라며 “초심으로 돌아가 도민들 그리고 연대 도시들과 힘을 모아 국제 경쟁에 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반드시 전북이 2036 하계올림픽 유치 도시로 선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