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가 27일 ‘전북특별자치도 먹거리위원회’를 열고, 2025년 먹거리 시행계획과 먹거리 숙의기구 운영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올해 시행되는 먹거리 시행계획은 6대 추진전략, 18개 핵심과제, 65개 세부사업으로 구성되며, 총 1922억 원이 투입된다. 특히 먹거리통합관리시스템 도입, 공공급식 식재료 안전관리 강화, 취약계층 먹거리 지원 확대 등을 통해 지역 먹거리의 생산·유통·소비 전반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먹거리통합관리시스템을 활용하면 지역 농산물의 수급을 분석해 시군별 맞춤형 생산·공급 계획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먹거리의 안정적 공급과 가격 변동성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학교급식 공급업체를 연 2회 이상 점검하고, 공공급식 식재료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위생부서와 협력하는 등 식품 안전 관리도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전북도는 정책 수립 과정에서 도민 의견을 적극 반영하기 위해 먹거리 숙의기구를 본격 운영한다. 14개 시군에서 다양한 계층이 참여해 먹거리 관련 의제를 논의하고,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먹거리 숙의기구는 지난해 도의회 농업복지환경위원회와 먹거리위원회에서 필요성이 제기됐으며, 이후 열린 토론회를 통해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에 전북도는 앞으로 정기적인 워크숍과 회의를 통해 지역 맞춤형 먹거리 정책을 개발하고, 행정과 협력해 실행력을 높여나갈 예정이다.
김종훈 전북자치도 경제부지사는 “먹거리 정책은 단순히 식품 공급을 넘어 도민 건강과 지역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중요한 과제”라며 “도민이 직접 참여하는 정책 운영을 통해 실효성 있는 먹거리 체계를 구축하고, 민관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