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이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국방부 장관 같은 인물이 다시 등장해서 친위 쿠데타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그런 가정을 하고 싶지 않다는 답을 내놨다.
11일 국회 국방위원회에 출석한 김선호 대행은 "만에 하나라도 다시 윤석열과 같은 대통령이 선출되고 김용현과 같은 국방장관 임명되면 군이 개입된 친위 쿠데타 가능성이 또 있다고 보나?"라는 조국혁신당 백선희 의원의 질문에 "그런 가정은 하고 싶지 않다"고 답했다.
백 의원은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면서, 군의 구조가 취약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방첩사령부와 특수전사령부, 수도방위사령부, 정보사령부, 국방정보본부 등이 국방부의 직속 지휘를 받고 있다면서, 대통령과 국방부 장관이 결심하면 지난해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과 같은 상황이 또 다시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백 의원은 지난해 비상계엄의 성격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냐고 물었고 김 대행은 "최초 (비상계엄이) 선포됐을 때 동의할 수 없는 사안이라고 말씀드렸다"며 "세부적 내용들은 사법적 판단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김 대행은 비상계엄 선포 당일 당시 계엄군이 약 18만 발의 실탄이 동원됐다고 밝혔다. 그는 비상계엄 당시 동원된 실탄 수가 몇 발인지 알고 있느냐는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의 질문에 "저희가 파악해서 약 18만 발로 국정조사 위원회에 보고했다'고 답했다.
같은 당의 황희 의원은 계엄군에 실탄을 무기고에서 빼내 현장에 가지고 가도록 명령한 주체가 박안수 계엄사령관이냐고 물었고 김 대행은 "계엄사령관이 탄약 휴대를 지시했다고 진술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실관계는 아직 모른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주일석 신임 해병대 사령관은 지난 2023년 수해로 불어난 강에서 구조작업을 하다 사망한 해병대 채 상병 사건을 의식한 듯 "국가로부터 받은 젊은이들을, 아들과 딸들을 건강하게 복무하고 사회에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_resources/10/2025/02/12/2025021117530495690_l.jpg)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