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가 방아 찧는' 달에 '옥토끼' 로봇 보낸 중국

[원광대 '한중관계 브리핑'] 신화에서 과학으로의 여정, 신화로 중국 우주 사업 읽기

유인우주선 선저우 17호와 우주정거장 톈궁

지난 10월 26일 중국이 유인우주선 선저우(神舟) 17호를 쏘아 올렸다. 선저우 16호를 자국 우주정거장 톈궁(天宫)으로 보낸 지 5개월 만이다.

유인우주선의 이름인 선저우(神舟)를 우리말로 풀이하면 '신의 배'이다. 유유히 하늘을 가로질러 떠가는 배를 연상케 하는 이 이름은 사실 '선저우(神州)'와 글자는 다르지만, 발음이 같은 해음자(諧音字)다.

배 주(舟)가 아닌 고을 주(州)를 쓰는 선저우(神州)는 한나라 사마천의 역사서 <사기> 중 맹자와 순자의 생애를 다룬 <맹자순경열전>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전국시대의 음양가 추연(騶衍)은 "중국의 이름은 적현신주"라 하며, 이것이 곧 우 임금이 천하를 아홉 개로 나눴다는 의미를 지닌 구주(九州)에 해당한다고 했다. 그리고 이 세상은 아홉 개의 구주, 즉 81개의 땅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했다.

유교 세계관인 구주설을 확대한 개념이지만, 오늘날 선저우는 중국 그 자체를 의미한다. 한편 우주정거장 톈궁은 하늘의 궁궐이라는 뜻인데, 옥황상제와 같은 신이나 신선들이 사는 궁전을 의미한다. 우리에게도 익숙한 명나라 소설 <서유기>에서 손오공이 난장을 벌이는 곳이 바로 톈궁이다.

화성 탐사선 톈원 1호와 탐사 로봇 주룽

중국 우주 사업에서 발견되는 중국 신화는 이뿐만이 아니다. 2021년 5월 15일 중국이 쏘아 올린 화성 탐사선의 이름은 톈원(天問) 1호이며, 여기에 화성 탐사 로봇 주룽(祝融)을 실었다. 톈원은 전국시대 시인 굴원이 쓴 장편 시의 이름으로 우리말로는 <천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하늘에 묻는다'는 뜻이다.

이 시에서 굴원이 답을 얻고자 던지는 질문들은 신화, 전설과 관련이 깊어 중국 신화 연구의 중요한 문헌으로 꼽힌다. 그는 머나먼 태곳적 혼돈에서 세상이 열린 일을 누가 전했는가 하는 질문을 시작으로 세상에 관한 172종에 달하는 의문을 열거하고 있어, 화성이라는 미지의 세계를 탐색하려는 탐사선의 이름으로 톈문은 제격이 아닐 수 없다.

화성 탐사 로봇의 이름인 주룽은 우리말로 '축융'이며, 불의 신이다. 불의 신 축융은 보통 나무의 신 구망, 물의 신 현명, 금속의 신 욕수, 흙의 신 후토와 함께 등장한다. "오행을 맡아 다스리는 관원이 있으니 이를 오관(五官)이라고 한다. 이 오관은 실제로 나란히 씨와 성을 받고, 작위를 받아 상공이 되었으며, 제사를 받는 귀한 신이 되어 사직과 오사에 제사되어 준봉을 받는다."

이처럼 <좌전>은 이들이 인간이었던 시절 맡은 일을 뛰어나게 잘해 사후에 신이 되었다고 설명한다. 불의 신 축융은 오행에 따라 여름의 신, 남방의 신이기도 했다. 그래서 중국 한나라 때 기록에 따르면 입하(入夏)가 되면 축융에 제사를 지내기도 했고, 조선에서도 기우제인 우사(雩祀)를 축융을 비롯한 계절 신들에 지내기도 했다. 화성, 다시 말해 불의 별을 탐사하기 위해 불의 신의 이름을 딴 로봇을 보낸 것이다.

달 뒷면 탐사에 성공한 창어 4호와 무인 탐사 로봇 위투 2호

2019년 1월 3일 세계 최초로 달 뒷면에 성공적으로 안착해 세상을 놀라게 한 중국의 무인 달 탐사선의 이름은 창어(嫦娥) 4호다. 미국과 러시아를 능가하는 우주대국이라는 중국의 꿈에 한 발짝 더 가까이 다가가게 해준 창어 4호의 이름은 달의 여신 창어, 우리말로 '항아'에서 왔다. 중국은 달 탐사 프로젝트를 그녀의 이름을 따 '창어공청(嫦娥工程)', 즉 항아 프로젝트라고 부른다.

항아는 남편 예가 불사의 여신 서왕모에게 받아온 불사약을 혼자 몰래 먹고 달로 도망쳐 달의 정령이 되었다고도 하고, 두꺼비가 되었다고도 한다. 후자에 관해 남편을 배반한 대가로 벌을 받은 것으로 해석하기도 하지만, 달 속에 사는 두꺼비는 오랜 숭배의 대상이었지 징벌의 결과가 아니다. 해에 삼족오가 살고, 달에는 토끼와 두꺼비가 산다는 것은 오래된 상상으로 고구려 고분 벽화, 한나라 화상석이나 마왕퇴 백화 등에 자주 등장하는 단골 이미지이다.

▲ 장천1호분 널방 천장석. 북두칠성을 중앙에 두고 왼쪽에는 해(삼족오)를, 오른쪽에는 달(토끼와 두꺼비)을 그렸다. ⓒ국립문화재연구원

▲ 마왕퇴 신추 부인 무덤 출토 백화. 왼쪽 상단에는 초승달에 앉은 두꺼비와 그 위를 지나는 토끼가 있고, 오른쪽 상단에는 해 안에 앉은 삼족오가 있다. ⓒ위키미디아

창어 4호에 실은 무인 탐사 로봇의 이름은 위투(玉兔) 2호인데, 위투는 바로 옥토끼이다. 달에 토끼가 산다는 신화는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나타나는데, 그 명확한 이유는 알 수 없다. 단순히 달 표면의 음영을 보고 토끼 같다고 생각했을 수도 있고, 토끼와 달의 공통적인 특징인 '불사'에 그 원인이 있을 수도 있다.

토끼는 왕성한 번식력으로 예부터 숭배의 대상이었는데, 자손을 낳는다는 것은 또 다른 종류의 생명 연장으로 여겨졌다. 달은 이지러지고도 결국은 다시 차오르기에 역시 죽지 않는 존재였다. 이처럼 달에 항아와 토끼가 살고 있다는 상상에, 기존에 있던 두꺼비가 달에 산다는 신화와 계수나무 신화까지 더해져, 달에 사는 존재는 넷이나 되었다.

이를 그대로 반영한 것이 당나라 때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월궁동경이다. 달나라 궁전을 그린 청동 거울이라는 뜻으로, 항아, 토끼, 두꺼비와 계수나무가 옹기종기 모여 있다. 이에 비해 21세기 중국이 짓고 있는 달나라 궁전에는 아직 두꺼비와 계수나무가 오지 않은 셈이다.

한편 그간 달 뒷면 탐사가 어려웠던 것은 탐사선이 달 뒷면에 이르면 지구와의 직접 교신이 단절되기 때문이었는데, 중국은 이 문제를 통신 중계 위성을 별도로 쏘아 올려 해결했다.

그리고 이 통신 중계 위성에 '췌차오(鵲橋)'라는 이름을 붙여줬는데, 이는 우리말로 하면 다름 아닌 오작교이다. 견우와 직녀가 일 년에 한 번 만날 수 있도록 까마귀와 까치가 이어주었던 그 다리 말이다. 견우와 직녀처럼 교신이 끊긴 달 뒷면과 지구를 췌차오가 이어주니 그 본래의 이미지와 뜻을 잘 살렸다.

첨단 우주 사업에 신화가 불려 오는 까닭

이처럼 신화에서 우주 사업에 필요한 이름을 따오는 것은 중국만의 현상은 아니다. 공모를 통해 뽑힌 일본의 달 탐사선 이름도 일본 전래동화 <달로 돌아간 가구야 공주>에서 따온 가구야이고, 냉전 시대 미국의 아폴로 계획, 그리고 그 뒤를 잇는 오늘날의 아르테미스 계획 모두 신화에서 유래했다.

19세기~20세기 사이에 신화와 과학의 관계를 인류 문명의 선후 단계로 이해하고 신화의 소멸을 선언한 사람들이 몇 있었다. 그러나 그들의 예언과 달리, 첨단의 과학 기술을 필요로 하는 우주 사업에 사람들은 신화 이름을 붙여주고 있다.

중국은 이를 두고 '중국적 낭만주의'에서 원인을 찾기도 하지만, 이 현상이 세계 보편적이라는 것은 더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는 뜻이다.

우선 신화는 사람들에게 가장 친숙한 이야기다. 예컨대 항아가 달로 올랐다는 신화는 중국 4대 신화로 꼽히기도 할 만큼 중국인들이 어릴 때부터 듣고 자라며, 교과서에 가르치기도 한다.

또 옛사람들이 이해할 수 없었던 자연현상을 설화적으로 풀이한 결과가 바로 신화라는 자연신화학파의 설명을 참고하자면, 우주 탐사에 신화가 다시금 등장하는 이유는 우주 탐사가 곧 미지의 대상인 우주를 이해하려는 노력이기 때문이다. 이는 먼 옛날 자신을 둘러싼 불가해한 자연을 이해하고자 노력했던 선조의 모습과 맞닿아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우주 사업이 국가의 이름을 내걸고 진행되는 것이라는 점을 상기해 보면, 한 집단을 동일한 정체성을 가진 공동체로 만들어 주는 공동의 이야기인 신화가 왜 우주 탐사에 불려온 것인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2011년 중국 유인 우주 공정 판공실 주임인 왕원바오(王文寶)는 유인우주선 및 우주 정거장 명칭 공모전에서 축사를 하며 "우리는 중국의 유인우주 탐사선이 더 독특하고 독보적인 상징을 지녀야 하며, 미래의 중국 우주 정거장은 더욱 강렬하고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이름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동시에 이 같은 이름과 상징이 모든 인민은 물론 전 세계 화인(華人)의 의견을 더 많이 반영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

▲ 왼쪽 상단에 날아가는 항아, 그 오른쪽에 계수나무, 그 밑에 두꺼비, 다시 왼쪽에 방아 찧는 토끼를 그렸다. ⓒ타이베이고궁박물원

이처럼 국가는 자신의 문화와 역사적인 유산을 강조하며 우주 탐사에 관련 이름을 부여하고 싶어 한다. 우주 탐사 사업이 단순한 과학 탐구가 아니라, 강대국으로서의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는 작업의 일환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여기에 오래된 신화에서 가져온 이름으로 붙여주며 과거와 현재를, 국가와 개인을 이어 붙인다.

이는 사람들에게 국가의 유구한 전통을 상기시켜 공동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부여한다. 우리가 누구인지 설명해 줄 근원적인 이야기가 필요할 때면 우리는 신화를 향해 손을 뻗고, 신화적 낭만주의는 언제든 국가주의로 전환될 수 있다. 우주 경쟁이 지속되는 한, 평화 공생체는 달나라보다도 먼 이야기일지도 모른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중국문제특성화' 대학을 지향하면서 2013년 3월 설립된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은 중국의 부상에 따른 국내외 정세 변화에 대처하고, 바람직한 한중관계와 양국의 공동발전을 위한 실질적 방안의 연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산하에 한중법률, 한중역사문화, 한중정치외교, 한중통상산업 분야의 전문연구소를 두고 있습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