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7-6호인 우리 가락의 흥겨운 고창농악이 지역을 넘어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다
고창농악은 (사)고창농악보존회를 중심으로 고창군의 14개 읍·면 농악단연합회와 지역과 전국의 고창농악 동호인들이 가꿔나가는 문화공동체다.
고창농악은 호남우도 영무장(영광, 무장, 장성, 함평) 농악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전라 남북의 고창 출신과 고창 거주 예인들이 그 중심에 있다.
특히 접경지역에 위치한 지정학적인 영향으로 예부터 ‘윗녘 가락은 빠르고 아랫녘 가락은 느린데, 고창농악은 그 중간에 위치하여 간이 잘 맞는다.’라는 말이 전해진다.
고창농악은 지난 1998년 정창환 소고 명인의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고깔소고춤 예능 보유자 지정을 시작으로 1999년 황규언 상쇠 예능 보유자 지정을 거치며 전국 농악판을 주름잡기 시작했다.
2000년 (사)고창농악보존회는 ‘전북 무형문화재 제7-6호 고창농악’ 보유단체로 지정되었고 그 후 2005년 정기환 명인이 설장구 예능 보유자 지정을 받았다.
이명훈(고창 고수, 1968) 상쇠는 30여 년간 고창농악의 절차와 가락들을 기록·연구·복원·전승해 현 고창농악의 전승 문화가 정립되는 과정의 뼈대를 세웠다.
그는 지역의 농악명인들과 문굿, 풍장굿, 도둑잽이굿 등을 재현해냈으며 나아가 전승교육·공연·축제·연구 프로그램 등을 개발·운영해 현재의 고창농악전수관의 기틀을 마련했다.
그 과정에서 고창농악 전승 단체와 공동체가 생겨나 지난 1993년 불과 14명으로 시작한 고창농악 전수 교육이 30여 년이 지난 지금 한해 수천 명의 전수생이 거쳐 가고 있다.
전승 교육사업은 교육 신청 오픈 3분 만에 매진될 만큼 인기가 좋아 매주 주말이면 고창농악전수관에 내려와 고창을 돌아다니거나 악기를 치며 머무는 ‘굿 스테이’ 프로그램 역시 다양한 사람들의 신청이 끊이지 않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최초의 여류 명창 진채선의 이야기를 농악과 국악으로 풀어내는 국악뮤지컬 ‘이팝:소리꽃’이나 전통 판굿의 재미와 흥을 느낄 수 있는 ‘고창농악 상설굿판’을 즐기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고창을 찾는다.
심덕섭 고창군수는 “오늘날 고창농악이 지역을 넘어 세계에서 인정받는 무형문화유산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군민 모두가 하나라는 맘으로 함께 신명 나는 판을 꾸려온 덕분이다”며 “앞으로 고창농악이 세계로 뻗어 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