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금융 공공기관 ESG 추진했으나 선언에만 그쳤다

경제개혁연 "금융기관은 기후변화 위험에 가장 민감…실효성 있는 변화 있어야"

주요 금융 공공기관들의 ESG 경영 이행 정도가 부진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제 협약에 선언적 지지는 보내지만 실제 정보 공개 등 실천에 나선 기관은 드물다는 것이다. 

경제개혁연구소는 16일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산업은행, 기업은행 등 17개 금융 관련 공공기관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 보고서를 발간해 "대부분 공공기관이 'ESG 강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실효성 있는 변화나 이행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분석은 국회 기재위 장혜영 의원(정의당)이 지난 10월 국정감사 때 주요 금융 관련 공공기관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를 토대로 한 것이다.

자료를 보면 많은 금융 관련 공공기관이 ESG 경영 관련 선언적 지지를 표현하고 있지만 정보 공개 등 이행으로 나아간 곳은 찾기 어렵다. 예를 들어 사학연금,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한국투자공사 등은 TCFD(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전담협의체)에 대한 공식적인 지지를 선언했지만 11월까지 TCFD 권고안에 따른 정보 공개를 이행한 곳은 기업은행 1곳 뿐이다. 

기후변화에 관련한 스트레스 테스트(예외적이지만 발생할 수 있는 사건이 터졌을 때 금융시스템이 받게 되는 잠재적 손실을 측정하는 방법. 예를 들어 금융기관이 투자한 회사가 기후변화로 피해를 입을 경우 해당 금융기관에 발생할 손실을 예측하는 것 등.)를 실제로 진행했다고 보고한 곳도 기업은행 한 곳 뿐이다. 보고서는 "많은 공공기관이 최근 ESG 위원회 등의 조직을 구축했으나 관련 정보 공개는 상당히 미진한 상태"라고 평가했다.

금융 공공기관들은 이미 적지 않은 규모로 ESG 투자에 나서고 있다. 2020년 기준 국민연금 투자액 중 101조원 가량(총 운용자산대비 약 11.8%)이 ESG 투자에 해당한다. 기업은행(약 73조원), 산업은행(약 40조원)도 ESG 투자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ESG 투자 내역 및 기준이 정립되지 않거나 공개돼 있지 않은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 보고서는 "ESG 관련 지표나 분류체계가 실효성 있게 정립돼 있어야 ESG 투자와 이와 투자가 유의미하게 구분될 수 있다. 금융기관이 ESG 투자 내역을 보다 구체적으로 공개해야 외부에서의 모니터링이나 검증도 실효성 있게 진행될 것"이라고 짚었다.

노종화 경제개혁연구소 연구원은 "금융기관은 투자를 통해 시장 전체의 전반적인 자산을 배분함으로써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기후변화로 인한 제도 변화, 투자 기업의 손실 등 위험에도 가장 크게 노출돼 있다"며 금융기관의 ESG 경영 필요성을 환기했다.

▲7월 독일 서부 라인강변에 '100년 만의 폭우'가 쏟아졌다. 기후변화가 원인으로 지목됐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김효진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