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120시간 노동'도 좋다는 윤석열의 살벌한 노동관

[기자의 눈] 노동시간 확대되면 노동자는 행복해질까

대선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매일경제>와 인터뷰한 내용이 논란이 되고 있다. 기업이 일자리를 만들 수 있도록 언제든 노동자를 해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부터, 기업의 과실에 경영진 처벌이 아닌 법인에 벌금을 부과하는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다양하다.

그중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발언은 '노동시간 확대'다. 윤 전 총장은 현 정부가 추진한 주 52시간제를 두고 "정부는 주 52시간제로 일자리가 생긴다고 주장했지만 일자리 증가율이 0.1%에 불과하다는 통계도 있다"며 "한 주에 52시간이 아니라 일주일에 120시간이라도 바짝 일하고, 이후에 마음껏 쉴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스타트업 청년들을 만났더니, 주52시간제 시행에 예외조항을 둬서 노동자가 노동시간 조건을 합의하거나 선택할 수 있게 해달라고 토로했다는 게 이유였다. 게임을 개발하려면 한 주에 52시간이 아니라 120시간 일해야 한다는 것이다.

▲ 윤석열 전 검찰총장. ⓒ연합뉴스

한국 사회 노동자에게 선택권이란 게 있을까

이미 한국은 긴 노동 시간을 '자랑'하고 있다. 2019년 기준 한국의 연간 노동시간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멕시코 다음으로 가장 길다.

2016년에는 윤 전 총장이 언급한, 게임 개발을 위해 장시간 일하던 20대 청년이 과로사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청년은 사망하기 석 달 전부터 불규칙한 야간근무와 초과근무를 이어왔다. 사망 한 달 전부터는 1주간 근무시간이 78시간이었다. 어떤 때는 1주간 89시간도 일해야 했다.

근로복지공단은 고인의 사망 원인을 두고 게임개발 등 IT업계의 관행인 '크런치모드'(게임 출시와 업데이트를 앞두고 숙식 등을 모두 회사에서 해결하는 초장시간 노동)를 지목했다.

윤 전 총장 말대로 주52시간제에 예외조항을 두고 게임 개발 등 업계를 한정해 장시간 노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면, 결과는 달라졌을까. 안 그래도 파리 목숨인 IT업계에서 이를 선택한다는 건 일을 그만둬야 한다는 것과 다르지 않다.

윤 전 총장이 만난 스타트업 청년들은 적어도 그 업계에서 일하는 노동자는 아니었을 것이다. 지금 한국 사회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에겐 실질적인 '선택권'이란 없기 때문이다.

하루 노동시간 9시간 넘어가면 사망재해 2배 증가

장시간 노동과 산업재해는 떼려야 뗄 수 없는 필요충분조건 관계다. 윤조덕 한국사회정책연구원 원장이 지난 7일,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등이 주최한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의 올바른 시행방향은?' 토론회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면, 업무시간이 길어질수록 사망재해 발생위험률은 급격히 늘어났다.

독일 자료 'Nachreiner, Akkermann, & Haenecke'(2000)에 따르면 사업장에 출근한 노동자가 업무를 시작한 시간부터 끝난 시간까지, 즉 노동시간의 길이가 8시간까지는 시간대별 상대적 사망재해 발생위험률이 유사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하루 노동시간이 9시간을 넘어가면서부터는 상대적 사망재해 발생위험률이 2배로 증가했다. 그리고 12시간 이후 시간대부터는 위험률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 원장은 이를 두고 "1일 8시간의 기준 노동 이외의 추가 노동시간(이른바 잔업시간)이 길어질수록 사망재해 발생위험률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윤 원장은 "과도한 노동시간은 한편으로는 산업재해발생 위험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는 노동자의 여가시간이 짧아져 삶의 질 향상에 제약요인이 되며 이로 인하여 근로자의 창의성과 생산성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노동 정책의 빈곤함 드러낸 윤 전 총장

현대자동차에서 야간근무를 없애고 주간연속 2교대제를 도입한 게 2008년이다. 40년 만에 야간근무가 사라진 것이다. 그렇게 사회는 조금씩 노동자가 대우받는 세상으로 나아가고 있다. 2018년에 통과된 주 52시간제도 마찬가지다.

그렇기에 2022년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윤 전 총장의 인터뷰 내용이 실망스럽기 그지없다. 노동계에서 이번 인터뷰를 두고 윤 전 총장의 노동관과 함께 노동 정책의 빈곤함이 드러났다고 비난하는 이유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허환주

2009년 프레시안에 입사한 이후, 사람에 관심을 두고 여러 기사를 썼다. 2012년에는 제1회 온라인저널리즘 '탐사 기획보도 부문' 최우수상을, 2015년에는 한국기자협회에서 '이달의 기자상'을 받기도 했다. 현재는 기획팀에서 일하고 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