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정부부터 김대중 정부까지의 남북 관계, 북한 김일성 체제와 김정일 체제 최고 전문가 중 하나. 1971년부터 남북 대화에 100여 차례 관여해 '남북 대화의 산 증인'으로 불렸던 김달술 전 통일부 남북회담본부 상임연구위원이 7일 오전 6시 16분께 노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향년 90세.
고인은 서울대 문리대를 졸업한 후 1961년 10월 중앙정보부에 들어가 북한 문제를 다뤄왔다. '남북 회담 전문가'로 시작해 1971년 적십자회담에 관여했고, 이를 계기로 만들어진 남북회담 사무국 초대 국장을 지냈다. 1979년 10.26 사태 당시엔 '김재규 사람'으로 몰려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고 김 전 상임연구위원이 생전에 밝히기도 했다.
주로 남북간 정치 협상을 다뤘고, 1980년대 남북 이산가족 문제 등을 다룬 다수의 적십자 회담에서 남측 대표단으로 북한과 협상에 나섰다. 이후에는 김일성, 김정일 등 북한 지도자를 집중 연구했다.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보수 정부에서 남북 대화 실무자로 참여한 경험을 토대로 "남북대화: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서울의 시각" (한국과 국제정치, 1987), "대등한 위치로 북한 끌어올린 민족합의적 통일방안"(월간 통일, 1989) 등 다수의 논문을 남겨 통일, 북한 연구자들의 길잡이가 됐다. 1988년 노태우 대통령의 '민족 자존과 통일 번영을 위한 대통령 특별선언' 등에도 관여하는 등 6공화국의 '북방 정책'에도 족적을 남겼다.
고인은 문민정부를 지나 대한민국 역사상 첫 정권 교체 후에 들어선 김대중 정부에서도 남북 대화에 적극 관여했다.
6.15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김 전 상임위원이 김대중 전 대통령을 앞에 두고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 대역(가게무샤)으로 앉아 '모의 회담'을 진행한 것은 유명한 일이다. 고인은 이를 위해 북한 신문과 TV를 연구하며 김정일의 일거수 일투족을 분석하고 똑같이 연기하는 훈련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김정일 역을 맡은 고인과 함께 김용순 북한 대남담당 비서 역할을 했던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은 2018년 4월 22일자 <경향신문> 인터뷰에서 김달술 전 상임연구위원과 관련해 다음과 같이 회고했다.
김 전 상임연구위원의 유족은 부인 박영순 씨와 자녀 김훈(강원대 교수)·김엽·김국경 씨, 사위 박용일(플러스허브 대표)씨, 며느리 서영주(강원도 여성특별보좌관)·김성란 씨가 있다. 빈소는 분당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3층 12호실에 마련됐다. 발인은 9일 오전 8시. 유족은 "조문은 정중히 사양한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