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한국은행 해외경제 포커스에 게재된 글로벌 로봇산업의 현황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로봇 밀집도가 한국이 531로 세계에서 가장 높다.
제조업 근로자 1만명 당 로봇 대수인 로봇 밀집도는 2005년 171에서 10년 만에 3배 이상으로 뛰었다.
세계 평균은 69이고 한국에 이어 싱가포르(398), 일본(305), 독일(301), 스웨덴(212) 등이 높은 편이다.
자동차 산업 로봇 밀집도는 자동차 강국 일본이 1276으로 1위이고 한국이 1218로 미국과 함께 2위다. 독일이 1147로 그다음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로봇 기술력은 선진국보다 많이 뒤처진다.
미국 대비 기술격차가 한국은 4.2년이다. 일본과 EU는 각각 1.4년이고 중국은 7.1년이다.
세계 산업용 로봇 수출액 국가별 비중은 2016년 기준 일본이 39.2%로 압도적이고 독일 15.4%, 미국 4.7%에 이어 한국은 4.3%이다. 중국은 3.7%다.
세계 로봇 제조기업 상위 10곳 중 6곳이 일본기업이다.
글로벌 로봇시장은 금융위기 후 2015년까지 연평균 약 18% 성장했다.
산업용은 자동차 산업 자동화에 따라 연평균 20% 늘었고 가정·오락용 등 서비스용 로봇도 16% 증가했다.
국제로봇연맹(IFR)은 앞으로 인공지능과 결합한 로봇 수요가 늘어나며 2019년까지 연평균 13%의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선진국 고령화 추세에 따라 의료 및 가정용 로봇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다.
산업현장에서 로봇은 생산성 증대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앞으로 50년간 주요 20개국 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2.9% 중 자동화에 따른 생산성 증가 기여분이 0.8∼1.4%포인트에 달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반면 로봇 증가가 일자리 소멸과 소득불균형을 초래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세계경제포럼이 지난해 선진 7개국과 신흥 7개국 370여개 기업 최고인사담당자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2015∼2020년 중 716만 개 일자리가 감소하는 데 창출되는 일자리는 202만 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논문을 작성한 한국은행 이재원 과장은 "로봇 연관 산업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서 일자리 소멸 부작용을 줄이고 소득재분배 기능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며 "빌 게이츠는 2월 로봇산업 발전에 따른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해 로봇세를 부과하자고 제안했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