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교도통신>은 9일 복수의 외교 소식통을 인용,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통해 김 위원장과의 정상회담 의사를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함께 통신은 트럼프 정부가 △국가체제의 전환을 추구하지 않는다 △김정은 정권 붕괴를 추구하지 않는다 △남북통일을 가속화 하지 않는다 △미군은 한반도를 남북으로 나누는 38선을 넘어서 북한에 진출하지 않는다 등의 조건을 중국 측을 통해 북한에 전달했다고 덧붙였다.
이는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지난 3일(현지 시각) 미국 국무부 청사에서 부처 직원들을 상대로 한 강연에서 했던 입장과 동일하다. 당시 틸러슨 장관은 미국이 "북한의 정권 교체나 체제 붕괴, 한반도 통일 가속화 등을 하려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밝혀왔다"고 말했다.
통신은 중국 측이 미국에 북한이 이 제안에 응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에 △핵·미사일 개발 포기 대신 경제원조 실시 △미북의 적대관계를 끝내기 위해 한국전쟁 휴전협정을 대신할 평화협정 체결 △국교정상화 교섭의 개시 등을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한 미국의 반응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상회담 언급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그는 지난 1일(현지 시각) <블룸버그> 통신과 인터뷰에서 "내가 그를(김정은) 만나는 것이 적절하다면 나는 기꺼이 그렇게 할 것"이라며 "적절한 환경 하에 있다면 나는 그렇게(김정은과 대화) 하겠다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현시점에서 북한과 미국 정상이 회담 테이블에 앉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 보인다. 양측이 한국전쟁 정전 협정의 당사국이기 때문에 평화협정 체결과 이후 수교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는 정상 간 만남은 어렵다는 분석이다.
따라서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입장은 김정은 위원장에게 협상의 최종 목표를 제시하면서, 북핵 문제를 대화와 협상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사를 보여주는 외교적인 시그널로 해석된다.
'선제타격'까지 거론됐던 지난 4월, 북한이 핵 실험이나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등 굵직한 군사적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는 점도 미북 양국이 협상 국면으로 진입할 조건을 만들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또 최선희 북한 외무성 미국 국장이 8일(현지 시각) 노르웨이의 수도인 오슬로 외곽의 한 호텔에서 미국의 수잔느 디매지오 '뉴아메리카 싱크탱크'의 국장 겸 선임연구원을 단장으로 하는 대표단과 '1.5트랙' (반관반민‧半官半民, 정부 당국자와 민간 접촉) 만남을 갖고 있다는 점도 이같은 관측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한편 외교부는 이와 관련 "사실이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한미 양국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전례 없는 빈도와 강도의 전략적 소통을 통해 북핵‧북한 문제와 관련, 빈틈없는 공조를 지속해 오고 있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