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교부는 26일 검단신도시 개발, 파주 신도시 확장 계획을 발표했지만 이에 앞선 지난 23일 추병직 건교부 장관은 메모지 한 장 들지 않고 예고 없이 기자실을 찾아 "곧 신도시 계획을 발표한다"고 선언해 해당 지역은 물론 강남 집값 상승을 부채질하는 등 시장의 혼란을 자초했다.
추병직 돌출행동…도대체 왜?
청와대 관계자는 26일 '추 장관이 불쑥 신도시 계획을 발표하는 바람에 아파트 값이 하룻밤에 수천만 원이 뛰고 재경부에서도 협의 중이었다고 말하는데 책임을 물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그런 사실 자체는 알고 있다"며 "인과 관계 등에 대해 따져봐야 하겠지만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이 관계자는 발표 시기와 발표 형식에 대해 사전에 조율이 있었느냐는 질문에는 "확인해 봐야 한다"며 "점검해 보겠다"고만 말해 이 부분에 대한 조율이 원활치 않았음을 시사했다.
재경부 박병원 제1차관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부처 간 협의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서둘러 발표한 감이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또한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상황점검회의에서 신도시 정책에 대한 점검은 있었지만 추 장관 개인에 대한 논의는 나오지는 않았다"면서 "기본적으로 현 사태가 어떤지 상황은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금까지는 신도시 개발계획은 007 작전을 방불케 할 만큼 보안이 치열했었는데 이번은 달랐고 부처 간 협의도 부족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에 윤 대변인은 "추 장관이 발표를 앞두고 경제보좌관에게 이야기를 한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이처럼 부처간 협의도 끝나지 않았고 발표시점도 조율되지 않은 상황에서 추 장관이 '돌출행동'을 보인 데 대해 청와대와 과천정부종합 청사 안팎에서는 "이유를 모르겠다"는 반응이 많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지난 1989년 신도시기획단 기획과장으로 분당, 일산 등 5대 신도시 개발의 산파역을 맡았고 1998년 주택도시국장 시절에는 분양가 자율화, 양도세 감면 등 부동산 경기 부양책을 내놓은 바 있는 추 장관은 사실 '집 값 잡기가 아니라 집값 올리기 전문가'라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북핵 문제와 외교안보라인 인사로 골머리를 싸매고 있는 청와대 측의 입장에서 이 갑작스런 '추병직 파문'은 아닌 밤중의 홍두깨로 다가오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