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방사능 공포', '먹거리 공포'로 확산

체르노빌 때도 식료품 오염…갑상선암 발병률 52배 증가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사고로 인한 '방사능 공포'가 먹을거리로 확산됐다. 20일 원전 주변에서 생산한 시금치와 우유 등에서 기준치를 크게 초과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면서, 일본 열도는 '원전 공포'에 이은 '먹을거리 공포'에 휩싸인 상태다.

일본 정부가 전국 47개 현(縣)의 수돗물과 원전 인근에서 생산한 곡류·야채·고기·달걀 등을 조사한 결과, 원전 남쪽 이바라키현에서 재배한 시금치에서 기준치(1㎏당 2000베크렐)의 27배에 이르는 방사성 요오드와 기준치(1㎏당 500베크렐)의 5배에 이르는 세슘이 검출됐다. 베크렐은 방사성 물질이 1초 동안 방출하는 방사선을 뜻하는 단위다.

이웃 지바현에서 생산한 쑥갓에서도 기준치의 2.15배에 달하는 요오드가 나와, 도쿄도는 식품위생법에 따라 이곳의 쑥갓 90㎏을 판매 금지 조치했다.

▲ 일본 동북부 지진 발생 열흘째인 20일, 도쿄의 한 시장에서 한 노인이 이바라키산(産) 시금치 매대를 지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바라키산 시금치와 후쿠시마현 농장에서 생산된 우유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으며 법적 기준치를 초과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AP=뉴시스

가공 전 우유에서도 방사능 오염이 확인됐다. 후쿠시마 원전에서 30㎞ 이상 떨어진 낙농가에서 생산한 원유에서도 기준치(1㎏당 300베크렐)의 최고 17배에 이르는 5200베크렐의 요오드가 검출됐다.

도쿄시와 도치기현·군마현·사이타마현·지바현·니가타현 등 원전 인근 다섯 개 현의 수돗물에서도 방사성 요오드가 검출됐지만, 일본 정부는 기준치 이하의 미량이라 인체에는 해가 없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 "인체 해 없다"지만…소비자 불안감은 커져

기준치의 최대 27배에 이르는 방사성 물질이 검출돼 일본 국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지만, 에다노 유키오(枝野幸男) 관방장관은 "먹을거리에서 검출된 방사성 물질은 한두 번 먹어도 인체에 영향이 없는 미량"이라고 설명했다.

방사성 요오드가 검출된 후쿠시마현의 우유를 1년간 매일 먹는다고 해도, 인체에 들어오는 방사능은 흉부 컴퓨터단층촬영(CT촬영)을 한 번 할 때 인체에 노출되는 방사능과 같은 분량(12mSV·밀리시버트)이라는 것이다. 보통 사람이 일상적으로 생활하며 노출되는 방사능은 연간 3밀리시버트 정도다.

일본 방사선의학종합연구소는 "기준치의 7.5배가 검출된 시금치를 먹을 경우, 1인분을 100g으로 볼 때 4200인분을 먹어야 해롭다"고 밝혔고, 일본분석센터 역시 "물에 씻으면 대부분 씻겨나갔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시금치나 원유에서 검출된 방사능 수치가 19일보다 20일에 더 높고, 오염 식품의 가지 수도 늘어가는 추세여서 먹을거리에 대한 불안감은 확산되고 있다.

원전 사태가 아직 수습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20일 오후부터 일본 동북부 지역에 내리고 있는 눈과 비도 오염 확산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원전 사고 이후 도쿄도와 이바라키현 등 수도권 8개 도·현의 비와 먼지에서 미량의 방사성 물질이 검출된 바 있다.

램칭완(林靑雲) 홍콩대 화학과 교수는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의 말만 들어선 위험성을 정확히 평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수돗물과 먹을거리 시료를 어디서, 어떻게 채취했는지 불분명해 오염 경로와 위험 정도를 따지기 어렵다는 것이다.

램 교수는 "원전 인근에서 생산된 먹을거리를 리콜하는 방안을 심각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생태계 전체가 이번 사고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큰 만큼, 어떤 위험도 감수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체르노빌에서도 식품 방사능 오염…13년 후 갑상샘암 발병률 '52배'

사상 최악의 원전 사고로 기록되는 1986년 체르노빌 사고 당시에도 많은 주민들이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고기·우유·채소 등을 섭취했다가 또 한 번 방사능에 노출된 바 있다.

특히 방사성 요오드의 경우, 인체에 축적되면 갑상선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체르노빌의 경우에도 사고 13년이 후 이 지역의 갑상선암 발병률은 사고 이전보다 52배 늘어났다.

'방사능 공포'는 인접국까지 확산됐다. 인접국 벨라루스는 낙진(落塵) 피해를 봤지만 치료제 배포 등 응급조치를 소홀히 해 갑상선암 발병 수치가 113배 늘었다. 지난 2008년 유엔(UN)은 "우크라이나에서 갑상선암이 늘어난 것은 어린이들이 방사성 요오드 함량이 높은 우유를 먹었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이 피해가 사고 직후 방사능에 노출된 탓도 있지만,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식품을 섭취한 탓도 크다고 보고 있다. 사고 직후 독일·폴란드·네덜란드 정부는 방사능 오염 가능성이 있는 우유의 판매와 소비를 제한했지만, 프랑스 정부는 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아 이후 갑상선암 환자들로부터 소송을 당하기도 했다.

일본산 먹을거리, 안전할까

체르노빌 사례를 떠올려 볼 때, 일본산 식료품의 방사능 오염은 인접 국가에게도 큰 불안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당장 대만의 경우, 일본에서 수입한 누에콩에서 미량의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청과 농림수산식품부는 지난 14일부터 일본산 농수산물과 유제품에 대해 요오드와 세슘 등 방사성 물질 검사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3.11 대지진 이후 국내에 수입된 일본산 농산물은 없으며, 수산물의 경우 총 14건이 수입됐으나 현재까지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