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 이태원 참사, 오송지하차도 참사,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에게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 할 정부의 책임을 다하지 못했던 점에 대해 정부를 대표해 사죄한다"며 고개를 숙였다. 이태원 참사와 오송 지하차도 참사에 대한 정부의 공식 사과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 대통령은 16일 청와대 영빈관으로 사회적 참사 유가족 200여 명을 초청해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 간담회를 열고 "국정의 최고 책임자로서 국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 될 정부의 책임을 다하지 못했던 점에 대해서, 그리고 그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유명을 달리 한 점에 대해서 공식적으로 정부를 대표해서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 사죄의 말씀으로 떠난 사람들이 다시 돌아올 리도 없고 유가족들의 가슴속에 맺힌 피멍이 사라지지지도 않겠지만, 다시는 정부의 부재로 우리 국민들이 생명을 잃거나 다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 계기로 삼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이 고개를 숙여 사죄하자 유가족들 일부는 눈물을 보이며 흐느끼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국가 제1의 책임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며 "나라의 주인이 국민이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고 하는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 할 국가가 국민이 위협 받을 때, 또 국민이 보호 받아야 할 때 그 자리에 있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늘 여러분들의 가슴 속에 있는 말씀을 있는 대로 많이 들어보도록 하겠다"며 "여러분들의 아픈 말씀도 국민들과 함께 듣고 필요한 대책을 함께 만들어 나감으로써 다시는 이 나라에 국가의 부재로 인한 억울한 국민이 생기지 않도록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은경 오송참사 유가족협의회 공동대표, 송해진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 김유진 무안여객기참사 유가족협의회 2기 대표, 김종기 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 등 4명의 유가족 대표단이 공개 발언을 했다. 이들은 생명안전기본법 제정, 재난 안전 관리 체계의 전면적인 개편, 정부의 진정성 있는 조사와 애도 등을 요청했다.
행사 말미에 이 대통령은 "사고도 마음 아픈데 사고 후에 책임자인 정부 당국자의 이해할 수 없는 태도가 더 마음 아팠을 것"이라며 "안전한 사회, 돈 때문에 생명을 가벼이 여기지 않는 사회, 목숨을 비용으로 치환하지 않는 사회를 위해 함께 노력하자"고 언급했다.
이날 참사 유가족과의 대화에는 오송 지하차도 참사(14명), 이태원 참사(45명), 12.29 여객기 참사(58명), 세월호 참사(90명) 등 유가족 총 207명이 참석했다. 행안부, 국토부 등 관련 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국회의원들도 참석했다. 대통령실에선 강훈식 비서실장과 김용범 정책실장, 전성환 경청통합수석, 봉욱 민정수석, 문진영 사회수석 등이 배석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