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한 달여로 접어든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잘하고 있다'는 긍정 평가가 65%로 나타났다. 부문별로 보면, 국무총리 등 공직 인사에 대해서는 긍정 평가가 60%대를 상회했고 주택담보대출 규제 등 부동산 정책에 대한 평가는 이보다는 낮았지만 역시 50% 중반대로 과반수가 지지 의견을 밝혔다.
10일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등 4개 여론조사기관이 공동으로 수행한 전국지표조사(NBS) 7월 2주차 결과에 따르면,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는 65%, 부정적 평가는 23%로 집계됐다.
국정운영 긍정평가율은 같은 조사에서 6월 2주차 53%, 6월 4주차 62%에 이어 지속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 3일 진행된 이 대통령의 취임 한 달 기자회견에 대한 평가도 '긍정적' 65%, '부정적' 18%로 국정운영 평가 조사와 비슷했다.
7월 3주 공직후보자 인사청문회 주간을 앞둔 가운데, 이 대통령의 공직 인사에 대해서는 '잘하고 있다'는 평가가 60%,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29%로 국정운영 지지도보다는 다소 긍정률이 낮았다.
다만 김민석 국무총리에 대한 직무수행 기대는 '잘할 것' 62%, '잘못할 것' 25%로 이보다는 다소 높았다. 이미 국회 인준 절차가 끝난 김 총리에 대해서는 다소 우호적 기대를 가진 반면, 인사청문회를 앞둔 일부 공직후보자들의 논란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주택담보대출 상한액을 6억 원으로 제한하는 지난 6.27 부동산시장 안정화 조치에 대해서는 '부동산 시장 안정에 도움이 되는 조치'라는 의견이 55%,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에 부담을 줄 수 있는 부적절한 조치'라는 의견이 33%로 나타났다.
30대(53%), 40대(65%), 50대(70%), 60대(60%)에서는 긍정적 평가가 높았고, 20대(18~29세)에서는 긍정 평가가 37%, 부정 평가가 40%로 엇갈리게 나타났다.
성향 진보층에서는 긍정평가가 73%, 보수층에서는 부정평가가 53%였고, 중도층에서는 '도움이 된다' 58%, '부적절하다' 32%로 전체 조사 결과와 유사했다.
NBS 조사 수행 측은 "부동산시장 안정화 조치에 대한 긍정 평가 비율은 무주택자(54%)와 1주택자(57%), 2주택 이상 보유자(54%)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며 "반면 스스로 인식하는 경제적 귀속계층이 높을수록 이번 조치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부동산 정책 전반에 대한 평가 역시 6.27 조치와 비슷하게 긍정평가 53%, 부정평가 29%로 집계됐다. 조사 수행 측은 "지난 정부 시기와 비교했을 때, 정부 부동산 정책에 대한 긍정평가가 다소 늘어나고, 부정평가는 줄어들었다"고 전했다.

이재명 정부 추진 정책 가운데 검찰의 수사-기소 권한 분리를 골자로 하는 '검찰개혁' 의제에 대해서는 '찬성'이 58%, '반대'가 29%로 조사됐다.
한편 12.3 비상계엄 사태 주모자로 내란죄 등 혐의 수사를 받고 있는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 수사 여부를 묻는 조사에서는 '구속 찬성' 71%, 반대 23%로 압도적 결과가 나왔다.
정당 지지율은 더불어민주당 45%, 국민의힘 19% 등으로, 민주당 지지율은 지난 한 달새 변화가 없었고 국민의힘 지지율은 대선 직후인 6월 2주차(23%) 대비 4%포인트 하락했다.
이 조사는 언론사 의뢰 없이 4개 조사기관 공동으로 지난 7일부터 사흘간, 통신3사 제공 휴대전화 가상번호에서 무작위 추출한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3명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응답률은 19.9%(총 5036명과 통화, 1003명 응답 완료),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였다. 통계보정 기법이나 설문지 문항 등 조사 관련 상세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