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통계청은 '장래 인구 특별추계 결과'를 발표하고 "한국의 인구는 올해 4천8백29만4천명에서 2020년에는 4천9백95만6천명으로 정점에 도달한 뒤 점차 줄어 2050년 4천2백34만8천명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번 인구 추계 수정치를 적용할 경우 국민연금 고갈시기도 당초 2047년에서 또다시 2040년대 초반으로 앞당겨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령인구 비율은 이미 2000년에 고령화사회(7%)를 넘어섰으며, 오는 2018년 고령사회(14%)에 진입한 뒤 불과 8년만인 2026년 초고령사회(20%)로 들어선다.
또한 고령화와 동시에 15~64세까지의 생산가능인구는 2005년 현재 3천4백67만1천명으로 전체인구의 71.8%를 차지하고 있지만 2016년에 3천6백49만6천명(73.2%)로 최고를 기록한 이후 점차 줄어들어 2050년에는 전체 인구의 53.7%에 불과할 것으로 분석됐다.
노인인구의 증가는 생산가능인구가 부양해야할 부담이 그만큼 늘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생산가능인구가 부양해야 할 유년부양비와 노인부양비를 합한 총부양비는 2005년 현재 39.3%에서 2016년 36.6%로 가장 낮아진 후 2030년에 54.7%, 2050년 86.1%까지 계속 높아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2005년 생산가능인구 7.9명당 노인 1명을 부양했지만 2030년에는 2.7명당 노인 1명, 2050년에는 1.4명당 노인 1명을 부담해야 할 것으로 전망됐다.
저출산과 가임여성인구 감소에 따라 신생아 수도 갈수록 줄어들 전망이다. 신생아수는 올해 49만3천명에서 2040년에는 33만9천명, 오는 2050년에는 22만9천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반면 가임여성 한 명이 낳는 신생아 숫자인 합계출산율은 지난 2002년 1.17을 고비로 매년 조금씩 높아지며 2030년 1.28, 2050년에는 1.30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출산율은 높아지는데도 신생아수가 줄어드는 것은 가임여성인구가 크게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