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가 19일 국회를 찾아 2026년 국가예산 확보를 위한 ‘막판 승부’에 들어갔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본심사에 돌입한 가운데, 전북 핵심 사업을 지키기 위한 직접 설득전에 나선 것이다.
김 지사는 이날 한병도 국회 예결위원장과 한정애 민주당 정책위의장을 연달아 만나 전북의 미래 전략사업 예산 반영을 요청했다.
도는 이번 예산안에서 특히 △RE100 산업단지 구축지원(261억 원) △새만금 국가정원 조성(10억 원) △새만금 상수도 간선관로 건설(7억 원) △새만금 헴프 산업클러스터 조성(5억 원) △전북권역 통합재활병원(98억 원) 등을 ‘우선 확보 대상’으로 꼽고 있다.
김 지사는 새만금 사업과 연계된 미래산업 전략이 “전북만의 과제가 아니라 국가 성장동력의 핵심 축”임을 강조하며 국회 차원의 지원을 거듭 호소했다.
같은 날 김종훈 경제부지사도 기획재정부 복지안전예산심의관실을 방문해 △전북권역 통합재활병원 △혁신도시 종합사회복지관 △순창 공설추모공원 △한의임상교육센터 △재난안전산업 진흥원 △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 등 생활·안전 기반 예산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김 지사는 오후에는 윤건영 행안위 간사와 만나 ‘전북특별법’ 개정안 42건의 조속한 처리도 요청했다.
개정안은 △청년농·스마트농업 연관산업 지원 △사용 후 배터리 이용 활성화 및 지원 △자동차 임시운행허가 기간 연장 △지방의료원 기부금품 모금 허용 등 전북의 산업·인구정책과 직결된 내용이 다수 포함돼 있다.
전북도는 예결위 소위원회 심사 일정에 맞춰 정치권·기재부와의 접촉을 더욱 늘리고, 실시간 대응 체계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김관영 지사는 “새만금·미래산업·복지안전 분야는 전북의 생존과 대한민국의 경쟁력이 동시에 걸린 영역”이라며 “남은 기간 단 한 건의 예산도 놓치지 않도록 끝까지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