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완주군이 정읍시를 제치며 전북의 새로운 4대 도시권으로 올라섰다.
지방소멸 위기 속에서도 3년 연속 인구 순유입을 이어가며, 농촌과 도시가 공존하는 ‘지속 가능한 성장 도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6일 완주군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내국인)는 10만 490명으로 전월보다 114명이 늘었다. 36개월 연속 순유입을 기록한 완주는 군 단위 지역 중에서도 드물게 장기 인구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완주는 9월 말 기준 외국인을 포함한 전체 인구가 10만 5250명으로 정읍시(10만 740명)를 근소하게 앞질렀다. 내국인 기준으로는 여전히 근소한 차이가 있지만, 완주의 꾸준한 증가세는 도내 도시 구조를 바꾸고 있다는 평가다.
삼례·봉동·이서 등 도심권 지역은 기업과 산업단지 확충으로 정주 인구가 꾸준히 늘고 있으며, 구이·소양·고산 등 농촌 지역에서도 귀농·귀촌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도시와 농촌의 균형 있는 성장이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민선 8기 들어 유희태 군수가 추진해 온 기업 유치와 정주 여건 개선, 청년·신혼부부 맞춤형 인구정책이 인구 상승세의 배경으로 꼽힌다. 올해 5월 인구 10만 명 돌파 이후 6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면서 ‘전북 4대 도시 도약’ 구상이 현실화되고 있다.
다만 인구 유입이 곧 ‘정착’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구조적 과제도 남아 있다. 전문가들은 “완주가 베드타운화되지 않으려면 지역 내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생활 인프라 확충이 필수적”이라며 “산업·문화·교육이 함께 발전하는 자족형 도시 기반을 다져야 한다”고 지적한다.
완주군은 인구 10만 명 정착을 기반으로 2035년까지 15만 명 달성을 목표로 한 ‘위대한 전진, 행복경제도시 완주’ 비전을 추진 중이다.
군은 특히 △도시성장 가속화(4대 도시 도약) △경제성장 고도화(GRDP 군단위 1위) △행복성장 지속화(삶의 질 중심 도시) △읍면성장 특성화(주민자치 1번지) 등 4대 전략을 제시하며 성장 동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유희태 완주군수는 “완주와 정읍은 전북 균형발전의 양 축으로, 서로의 발전이 결국 전북 전체의 경쟁력으로 이어진다”며 “완주는 앞으로도 전북의 중견 도시권으로서 산업과 문화, 공동체가 조화를 이루는 상생발전 모델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