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가 서리 내리는 11월 전주천과 삼천변에 꽃을 심으라며 '시장 특별지시' 공문을 내려보내 상식을 벗어난 강제 행정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공무원들은 예산조차 없는 지시에 반발했고 환경단체는 "25년간 복원해온 자연하천의 생태를 파괴하는 행위"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관련해 전북환경운동연합은 31일 성명을 내고 "전주시가 또다시 상식을 벗어난 하천관리 행정으로 시민과 공무원, 환경단체를 혼란에 빠뜨리고 있다"고 밝혔다.
단체에 따르면 전주시는 지난 10월 14일 '시장님 특별 지시 사항'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각 주민센터에 내려보내 전주천과 삼천 주변에 꽃을 심는 계획을 세우라고 지시했다.
11월은 기온이 떨어지고 꽃이 피기 어려운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시는 별다른 예산 지원 없이 자생단체를 동원해 꽃밭을 조성하라고 주문하고 시장이 직접 현장을 방문해 평가와 포상까지 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런 가운데 전주시 공무원노조 게시판에는 "예산 지원도 없이 꽃을 심으라니 화장지도 못 사는 형편에 무슨 돈으로 하라는 말이냐" "80년대 행정도 이렇게는 안 한다"라는 등의 불만이 터졌다.
논란이 커지자 전주시는 "시민 볼거리 제공이 취지였다"며 시장의 직접 지시는 아니라고 해명했지만 이미 '시장 특별지시사항'공문이 내려간 상황에서 자율 참여라는 해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특히 지방채만 6000억 원에 이르는 전주시가 예산도 없이 사업을 추진한다는 점에서 '보여주기식 행정'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환경단체 관계자는 "시장 한마디에 전주천과 삼천 26곳이 지정돼 공무원과 주민센터가 동원됐다"며 "자연식생을 없애고 외래종을 심는 건 생태계 교란과 예산 낭비"라고 지적했다.
전주시는 과거에도 전주천변에 유채꽃밭과 외래종 꽃씨 파종으로 환경 훼손 논란을 겪은 바 있다. 환경단체는 "외래식물을 하천에 심으면 토종 식물이 사라지고 생태계가 교란된다"며 "자연하천에 인공 꽃밭을 조성하는 것은 생태 원칙에 어긋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예산도 생태적 타당성도 없는 11월 꽃심기를 즉각 철회하고 외래종 대신 물억새·수크령 등 자연식생을 복원해야 한다"며 "우범기 시장은 잘못된 하천행정에 대해 시민에게 공개 사과하고 2030년까지 7천 85억 원을 투입한다는 '명품하천365프로젝트' 사업을 폐기하라"고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