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抗)산화 벼 유전자 발견…환경 스테레스에 강한 작물 '육종 활용' 가능성

농촌진흥청 연구진 특허 출원 완료

항산화 기능을 지닌 벼 유전자를 발견해 가뭄 등 환경 스트레스에 강한 작물 육종에 활용할 가능성을 확인했다.

2일 전북자치도 혁신도시에 있는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식물은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세포대사부터 발달까지 생리적인 작용을 일으키는 여러 원인을 조절한다.

식물 성장을 저해하는 기후나 토양 조건 등 비생물학적 스트레스와 관련한 생리작용 조절이 환경 적응에 매우 중요하다.

▲활성산소종(ROS) 축적 양상 ⓒ농촌진흥청

연구진은 급격한 환경 변화로 유발되는 비생물학적 스트레스에 강한 작물을 개발하기 위해 벼 오믹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비생물학적 스트레스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탐색했다.

그 결과 세포 내 산화 반응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벼의 비생물학적 스트레스 저항을 돕는 유전자(OsDjC51)를 발견해 그 기능을 확인했다.

이 유전자가 과발현된 벼는 고농도의 강력한 산화원인 과산화수소(H2O2)와 염분 처리 조건에서 잎의 백화 현상이 줄고 선명한 녹색을 유지해 생리적 스트레스 내성이 증가했음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이 유전자를 이용하면 다양한 외부 환경 스트레스와 연관된 산화 스트레스 저항성이 늘어 항산화능 증진, 작물 생산성 증대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농촌진흥청은 연구 결과를 특허출원 완료했으며 연구 결과는 벼 산화 스트레스 저항성 관련 기초자료로 환경 스트레스 저항성 작물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앞서 농진청은 산화 스트레스를 받은 식물은 활성산소종의 생성과 소거 사이의 불균형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세포 구성성분 손상, 세포 신호전달 과정 이상이 나타난다고 밝혔다. 이는 식물의 생장 저해, 수확량 감소로 이어진다.

이태호 슈퍼컴퓨팅센터 센터장은 "잦은 이상기후로 안정적인 식량 생산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며 "신속하게 대응하려면 슈퍼컴퓨터를 기반으로 빠르게 필요 유전자를 탐색·발굴하고 그 기능을 검증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태호 센터장은 "앞으로 슈퍼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농생명 연구의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겠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박기홍

전북취재본부 박기홍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