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2026년 상반기 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 개소를 목표로 민관 협력을 본격화했다. 그러나 조선업 중심의 인력난 해소에만 치우친 정책 아니냐는 비판과 함께 막대한 행정·재정 부담과 지역민 역차별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
울산시는 24일 시청에서 HD현대중공업, BNK경남은행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HD현대중공업은 교육공간 제공과 수요조사를 맡고 BNK경남은행은 외국인 전용 금융센터를 운영하며 맞춤형 상품과 금융교육을 진행한다. 울산시는 이를 토대로 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를 설치하고 상담·교육 프로그램, 문화행사 등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우려도 적지 않다. 우선 사업 추진 배경이 '조선업 인력난 해소'에만 맞춰져 있어 정작 지역민 고용 확대나 청년 일자리 대책은 뒷전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또 외국인 전용 금융센터, 출입국출장소 설치 등 행정 인프라가 빠르게 마련되는 반면 내국인 복지나 교육 현안은 뒷순위로 밀리고 있다는 불만도 제기된다.
재정 부담 문제도 크다. 외국인 지원을 위한 교육·상담·문화 프로그램, 전용공간 조성 등에는 상당한 예산이 투입될 수밖에 없는데 효과가 불분명한 '보여주기식 행정'으로 흐를 수 있다는 우려다. 일각에서는 "지역민이 체감하기 어려운 사업에 세금만 낭비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단순히 외국인 근로자 편의 제공에 그치지 말고 지역사회와의 갈등 관리와 내·외국인 균형 있는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외국인 노동 의존도가 높은 울산의 산업구조를 감안할 때 근본적 고용대책과 함께 사회적 합의 과정이 병행되지 않으면 정책 반발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외국인 근로자 역시 울산의 구성원"이라고 강조했지만 지역사회에서는 "정작 울산시민은 소외되고 있다"는 불만이 커지고 있다. 향후 지원센터 추진 과정에서 울산시가 얼마나 설득력 있는 설명과 투명한 예산집행을 보여주느냐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