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만 빠진 광역환승, 시민 교통비는 계속 늘어난다"

부산·경남 무료환승 시행에도 울산시는 “계획 없다”

부산과 인접한 경남 김해·양산이 지난 19일부터 광역 대중교통 환승요금 완전 무료화를 시행했지만 울산은 도입 계획조차 갖지 않은 상태로 알려져 정책 실효성 논쟁이 붙은 가운데 울산만 계속 소외된다는 시민 불만이 커지고 있다.

부산시는 지난 18일 발표한 정책에 따라 19일부터 김해·양산 구간과의 버스·도시철도·경전철 환승 시 추가 요금을 받지 않기로 했다. 일반 승객 기준으로 환승 시 500원이던 추가 요금이 사라지고 최대 두 번 환승해 3개 교통수단까지 무료로 갈아탈 수 있게 된 것이다. 통학·통근자들은 월 2만 원 이상 교통비를 아낄 것으로 예상된다.

▲울산 태화강역 전경.ⓒ프레시안

이런 가운데 울산은 트램 1호선 개통 시점을 환승제도 도입 전환점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2월 태화강역에서 신복교차로까지 이어지는 길이 10.9km, 정거장 15개소 수소전기 트램 노선의 기본계획이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승인을 받았다. 울산시는 2028년 트램 개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그러나 울산시민들은 "트램 개통까지 기다리느라 지금 겪는 불편과 비용은 누가 보상하느냐"는 목소리가 크다. 하루 평균 울산↔부산 동해선 전철·직행버스 이용객이 많음에도 도착 후 대중교통 환승에 추가 요금이 드는 현재 체제가 지속되면서 부담이 크다는 불만이 있다. 학생들은 통학비 부담, 직장인은 교통비 누적 등이 문제로 제기된다.

정치권과 전문가들은 울산이 무료 환승을 당장 도입할 수는 없더라도 동해선 전철과 버스 등 기존 교통망 간 환승 수요와 노선을 면밀히 조사해 사전 준비를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더 나아가 부울경 전체의 통합 광역환승 정책이나 정기권 제도의 확대 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중이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윤여욱

부산울산취재본부 윤여욱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