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적 논쟁에 막힌 새만금 국제공항 "지역 균형발전 마저 위태롭다"

전북건설단체·공항추진연합 "새만금 국제공항은 전북 도민의 오랜 숙원사업"

▲새만금국제공항 조감도. 전북도는 지역 균형발전과 글로벌 교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핵심 인프라라고 강조하고 있다. ⓒ전북도

11일 전북 새만금 사업이 또다시 법원의 제동으로 위기를 맞았다.

지역사회에서는 국제공항 건설 지연이 균형발전과 국제행사 유치의 걸림돌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새만금은 1991년 착공 이후 30년 넘게 개발과 환경 문제를 둘러싼 논쟁의 중심에 서 있었다.

갯벌 훼손, 철새 서식지 파괴 등 환경 이슈는 수차례 사업을 지연시켰다.

2006년 김제공항 계획 백지화 이후 새만금 국제공항 추진은 더욱 어려움을 겪었고, 2019년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로 재추진이 확정됐으나 일부 환경단체의 소송과 반대로 여전히 착공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

특히, 50년 넘게 '항공 오지'로 남아 있는 전북의 현실은 단순한 불편을 넘어 지역 경제와 국가 균형발전 전략에 직접적인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제행사 유치나 관광·물류 산업 활성화를 위해 국제공항은 필수적이지만,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전에 나선 전북은 발등의 불이됐다.

환경단체들은 법원 판결을 근거로 "개발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에서는 "이미 방조제가 완공된 상황에서, 자연 회복만을 이유로 발목을 잡는 것은 현실을 외면한 접근"이라고 지적했다.

전북건설단체연합회(회장 소재철)는 "2006년 김제공항 백지화 이후 표류하던 사업이 2019년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에 포함되며 본격 추진됐지만, 일부 환경단체의 소송과 반대 활동으로 지연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새만금 국제공항은 전북 도민의 오랜 숙원사업인 만큼 신속히 추진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새만금국제공항 조기건설 추진연합'(수석위원장 김정태)은 "새만금 국제공항은 전북이 50년 넘게 겪어온 항공 오지의 설움을 끝내고 지역 발전을 견인할 핵심 기반"이라며 "이미 설계·시공 적격자 선정과 교통·재해영향평가를 마친 만큼 환경영향평가 절차를 조속히 마무리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류 충돌 위험이 무안공항보다 610배 높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전략환경영향평가 조건을 무시한 왜곡된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새만금 국제공항은 단순한 인프라가 아니라, 전북이 전국 균형발전과 국제 교류를 이루기 위한 핵심 기반이라는게 이들의 평가다.

수천억 원 규모의 투자유치와 산업단지 개발, 관광·물류 활성화가 국제공항을 전제로 계획돼 있는 만큼 대체 방안없는 공항 건설 지연은 지역발전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새만금 국제공항 문제가 전북의 성장과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결단의 시험대가 되고 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송부성

전북취재본부 송부성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