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2025 국제백신산업포럼’ 개최…세계 백신 허브 도약 박차

혁신 기술과 전략에 대한 활발한 논의 위해 국내외 백신 전문가 한자리에...

경상북도는 8일부터 9일까지 안동국제컨벤션센터에서 ‘미래 감염병 대응을 위한 백신 전략과 혁신기술’을 주제로 ‘2025 국제백신산업포럼’을 개최하고 있다.

이번 포럼에는 양금희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김형동 국회의원, 권기창 안동시장을 비롯해 SK바이오사이언스, 사노피, 써모피셔 사이언티픽 등 국내외 백신·바이오 기업과 연구기관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해 백신산업의 전망과 최신 기술 동향을 공유하며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포럼은 전염병 대응 혁신 연합(CEPI) 소속 뉴턴 와호메 박사의 기조강연 ‘팬데믹 대비 엔진: 질병 X 대응을 위한 통합 AI/ML 플랫폼’을 시작으로, ▲백신 개발 동향 및 정책 ▲국내외 혁신 기술 ▲AI 기반 백신 개발 ▲신·변종 감염병 대응 R&D 전략 등을 주제로 이틀간 집중 토론이 진행됐다.

경북도는 안동 바이오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백신 상용화센터,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SK바이오사이언스 등과 함께 연구·개발부터 임상, 생산, 실증, 인력 양성까지 아우르는 전주기 백신 클러스터를 형성해왔다.

특히 안동은 지난 2023년 7월 세계보건기구(WHO)가 추진하는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의 핵심 거점으로 선정된 이후, 국제 백신 생산 역량 강화와 전문 인력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2024년 10월 준공된 백신산업전문인력양성센터는 국내 기업 및 학생 대상 실습 교육은 물론, 국제백신연구소(IVI)와의 협력을 통한 글로벌 백신 생산 기술 교육 프로그램도 준비 중이다.

경북도는 이번 포럼을 계기로 국내외 기업·연구기관·학계와의 협력 및 기술 교류를 강화해 세계 백신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양금희 경상북도 경제부지사는 “이번 포럼에서 논의된 혁신적인 전략과 기술들이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경상북도는 8일부터 9일까지 안동국제컨벤션센터에서 ‘미래 감염병 대응을 위한 백신 전략과 혁신기술’을 주제로 ‘2025 국제백신산업포럼’을 개최하고, 글로벌 백신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기반을 다졌다. ⓒ 경북도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김종우

대구경북취재본부 김종우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