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입맛 사로잡는 'K-복숭아' 수출 위한 '도원결의' 주목

전북자치도 혁신도시에 있는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이 '복숭아 수출 품목 체계 구축'에 착수해 비상한 관심을 끈다.

복숭아는 짧은 유통기한 탓에 수출에 어려움을 겪어온 만큼 최신 기술로 이를 극복하고 수확 시기별 최적 품종을 선발해 연중 안정적으로 수출하는 방안 마련에 나선 것이다.

국내 육성 신품종의 수출 가능성을 꾸준히 타진해 온 농촌진흥청은 2021년 조생종 '홍백' 품종을 홍콩과 싱가포르에 시범 수출해 현지 젊은 층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전북자치도 혁신도시에 있는 농촌진흥청 전면 모습 ⓒ프레시안

2023년에는 조생종 '금황' 품종을 실시간 소통 판매하며 유통 시간을 30시간 이내로 단축해 부드러운 복숭아의 수출 가능성을 확인했다. 올해는 싱가포르 소비자를 대상으로 중생종 복숭아 '스위트하백'과 '참백'의 수출 가능성을 평가했다.

농촌진흥청은 지속 가능한 'K-복숭아'의 수출 기반을 다지기 위해 조생종부터 만생종까지 해외에서 선호하는 국내 육성 우수 품종을 연속 공급할 수 있는 로드맵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청도복숭아연구소와 협력해 복합 처리 기술과 선도유지제를 적용하는 등 복숭아 무름을 늦춰 단단함을 유지하고 유통 중 부패를 유발하는 병원균 발생을 억제하는 등 장거리 운송 중 품질 저하를 최소화한다는 구상이다.

농촌진흥청은 최근 수출농업기술과(기술기반 수출 총괄)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기초기반과, 저장유통과·경북도원 청도복숭아연구소(품종 및 선도 유지 기술 개발), 수출단지(현장 적용) 등 각 분야 전문가가 참여한 가운데 '복숭아 수출 기술 지원 협의회'를 열기도 했다.

안욱현 기술협력국 수출농업기술과 과장은 "지금껏 복숭아 수출은 유통기간 제한으로 어렵다는 인식이 컸지만 이제는 선도유지 기술을 기반으로 극복할 수 있게 됐다"며 "시기별 품종 체계와 맞춤형 기술 지원을 통해 안정적인 수출 기반을 구축하고 국내 복숭아 농가의 소득 증대와 케이 농산물 세계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박기홍

전북취재본부 박기홍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