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덕 포항시장 “철강산업 붕괴 위기…정부, 'K-철강법' 조속히 마련해야”

미 트럼프 정부의 철강 관세 여파로 포항, 포스코 등 ‘철강 빅4’ 지난해 지방세 157억…2년전보다 83%↓

“포스코·현대제철도 힘든 상황…이제는 ‘위기’다”

경북 포항시가 지역 경제의 버팀목인 철강산업의 급격한 침체로 초비상에 걸렸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27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트럼프 정부의 철강 관세 여파, 중국발 저가 공세, 국내 건설 경기 침체가 겹치며 지역 철강업계가 도산 위기에 처해 있다”며 정부 차원의 특단의 대책을 촉구했다.

이 시장은 이날 포항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포스코와 현대제철 포항공장을 포함한 이른바 ‘빅4 철강기업’이 지난해 포항시에 납부한 지방세는 157억 원에 불과했다”며 “이는 2022년(967억 원) 대비 무려 83.7% 감소한 수치로, 철강업계가 처한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밝혔다.

그는 “철강산업 위기의 원인으로 ▲미 트럼프 정부의 철강 관세 ▲중국의 저가 공세 ▲국내 건설업 경기침체” 등을 복합적으로 지목했다.

특히 “이제는 ‘어렵다’는 말로는 부족하다. 지역 철강산업은 ‘위기’라는 표현이 더 적절하다”고 강조했다.

포항은 명실상부한 ‘철강 도시’다. 국내 최대 철강사인 포스코와 현대제철 포항공장, 그리고 중소 협력업체들이 지역 경제의 중추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최근 철강 수요가 급감하고 생산 단가 부담이 커지면서 기업들은 연이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특히 에너지 요금 상승은 중소 철강업체에 큰 타격이 되고 있다.

이 시장은 “철강산업이 무너지면 지역 경제는 회복 불능 상태에 빠질 수밖에 없다”며 “정부는 철강산업 경쟁력을 되살리기 위해 ‘K-철강법(가칭)’을 조속히 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법안에 대해 “철강업체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세제 감면, 에너지 비용 지원, 금융 유동성 확보 방안 등이 포함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의 상황이 지속된다면 청년들은 일자리를 찾아 외지로 떠나고, 도시는 급격히 활력을 잃게 될 것”이라며 “정부와 정치권이 지역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전기세 등 에너지 비용은 철강기업의 가장 큰 부담 중 하나”라며 “정부가 적극 개입해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법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강덕 경북 포항시장이 27일 포항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지회견에서 시가 추진 중인 사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프레시안(오주호 기자)

한편, 포항시는 오는 9월 정기국회 기간 중 지역 정치권과 함께 ‘철강산업 위기 대응 특별법 제정 촉구 간담회’를 열고, 정부와 국회를 상대로 본격적인 정책 반영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오주호

대구경북취재본부 오주호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