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대구 취수원 문제가 수년 째 결론을 내지 못한 채 표류하면서 대구시와 경북도는 물론 대구·구미·안동간의 아픈 손마디로 남아 있어 이를 몇가지 관점에서 진단해보기로 한다.
안동 취수원 이전은 근본적 재검토 국면에 접어들었고, 구미 해평 또는 일선교 부근 복귀 시나리오가 다시 유력하다는 후문이다. 단, 지역 간 갈등과 실효성 논란이 해소되지 않는 한 앞으로도 “쉬운 결론”은 기대하기 어렵다.
환경부 주도의 관계기관 실무 협의회가 지난달 29일 안동에서 처음 열린 점은, 중앙정부가 물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단, 이날 회의 역시 합의 없이 마무리된 만큼, 지역 여론‧실무 논의가 상당 기간 필요해 보인다.
“먹는 물 문제를 진영 논리나 정치 셈법이 아니라 시민 안전·환경 보전 최우선으로 풀어야 한다”는 여론처럼, 향후 해법은 정치적 결단과 지역 상생, 실질적 환경 관리 전략에 달렸다.
안동댐 취수원 이전 및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은 정부 정책 변화, 경제성‧환경성 논란, 경북 북부 지자체의 복잡한 이해관계로 인해 장기간 표류하며 난항을 겪고 있다. 당분간 구미 해평, 안동댐, 일선교 등 여러 후보지를 두고 대구‧안동 등 지자체와 중앙정부 간 실무 협의가 이어질 전망이나, 합의까지는 상당한 진통과 여론 설득 과정이 불가피할 것이다.
실제 ‘맑은 물 하이웨이’사업,물동맹 사업 추진과정에서도 구미, 상주, 의성 등 타 시군 및 경북도의 의사가 중요한 변수로 재부각되고, 지자체 간 충돌·수정 협의가 반복적으로 제기되는 현실이다
특히 안동시 입장에서는 단기적으로 이익과 부담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 주민의 이해를 구하고 환경 보전 전략을 함께 고려하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