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군산시가 인구감소 등의 영향으로 생활인구 개념이 새로 법에 포함됨에 따라 생활인구를 늘리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군산시에 따르면 23일 시청 상황실에서 주민등록인구 외에도 실질적으로 군산에 체류하고 잇는 생활인구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 결과를 공유하고 향우 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생활인구 빅데이터 분석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결과 발표에서는 ▲생활인구와 주민등록인구 간의 차이 ▲이동인구 패턴 ▲외국인 체류 변화 등으로 인한 인구감소의 복합적 원인이 소개됐다.

발표자와 참석자들은 결과를 함께 살펴보고 의견을 나눴으며 다음 완료보고회에서 군산시의 실질적인 인구 기반과 정책 수요층을 정밀하게 파악한 최종 결과를 통해 차후 과제를 심층적으로 논의하기로 했다.
시는 이번 중간보고회를 바탕으로 각 부서와의 협업을 통해 ‘2026년 데이터기반행정’ 실현을 위한 구체적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사회문제 해결 및 대민서비스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예비 분석과제도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앞으로도 공공데이터와 민간 데이터를 융합한 인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군산시의 주요 생활·소비·관광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구감소 대응 전략 수립 ▲시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정책 방향 마련도 병행할 예정이다.
김영민 군산시 부시장은 “정주 인구만으로는 지역의 실체를 파악하기 어려운 시대”라며 “이번 생활인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더욱 정밀하고 체감도 높은 정책을 발굴하고 시민이 체류하고 싶어 하는 도시를 만들어가는 데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