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하구 해양쓰레기, 전북-충남이 함께 건졌다"…광역협업 체계 '모범적'

집중호우로 유입된 해양폐기물, 정화선·운반선 투입해 전북-충남 공동 수거

▲전북도의 어장정화선 ‘전북901호’와 충남도의 운반선 ‘늘푸른충남호’가 협력해 해양에 떠다니던 유목과 쓰레기를 선박 위 집하장에 옮기고 있는 모습. ⓒ전북특별자치도


집중호우로 금강을 따라 유입된 대량의 해양폐기물이 금강하구와 군산항 일대를 덮치자, 전북과 충남이 즉각 공동 대응에 나섰다.

두 도는 정화선과 운반선을 나눠 투입해 신속하고 체계적인 수거 작업을 벌이며, 해양환경 보호와 선박 통항 안전 확보라는 이중 과제를 해결했다.

이번 공동 대응은 사전 협의를 기반으로 실행됐다. 전북특별자치도와 충청남도는 지난해부터 4차례에 걸친 실무 협의를 통해, 집중호우 시기 공동 대응 필요성에 공감하고 광역 협업 체계를 마련해 왔다.

현장에는 전북도의 171톤급 어장정화선 ‘전북901호’가 투입돼 부유 쓰레기를 직접 수거했고, 충남도의 131톤급 운반 전용선 ‘늘푸른충남호’는 수거된 쓰레기를 육상 집하장으로 옮기는 작업을 맡았다.

‘전북901호’는 굴삭기와 해저경운장비를 갖춘 하이브리드 정화선이며, ‘늘푸른충남호’는 크레인과 운반 트럭을 적재한 운반선이다.

두 선박이 분담한 작업은 해양폐기물 처리를 효율적으로 만들었을 뿐 아니라, 항만 주변의 선박 통항에 따른 안전사고 우려를 사전에 차단하는 데도 효과를 발휘했다.


▲‘전북901호’(아래)와 충청남도의 운반선 ‘늘푸른충남호’가 공동 작업을 펼치고 있는 모습. ⓒ전북특별자치도

전북도와 충남도는 이번 협업을 계기로 해상 경계지역에 대한 상시 공동대응 체계를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향후에도 폐기물 유입 우려가 있는 하천 하구와 연안 지역을 중심으로 공동 정화, 정보 공유, 장비 협력 등을 확대할 방침이다.

김병하 전북도 해양항만과장은 “이번 공동 대응을 통해 금강 하구와 인근 해역의 해양환경을 복구했을 뿐 아니라, 선박 통항 안전 확보에도 큰 도움이 됐다”며 “앞으로도 충남도와 긴밀히 협력해 깨끗하고 안전한 해양환경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양승수

전북취재본부 양승수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