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유치, 이대론 어려워”…전북도의회, 2036 유치전략 부재 '정조준'

“IOC 관심사 분석부터 전국 협력까지…전북만의 일이 아니다”

2036 하계올림픽 유치를 둘러싼 전북도의 준비 태세에 대해 전북도의회가 “전략이 없다”며 강한 우려를 제기했다. 단순한 유치 선언을 넘어,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관심사에 맞는 맞춤형 접근과 전국 단위의 협력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전북자치도의회 문화안전소방위원회는 18일 열린 제420회 임시회에서 2036 하계올림픽 유치추진단과 전북체육회에 대한 하반기 업무보고를 받았다. 의원들은 “큰 틀의 전략 없이 실행만 앞세워선 유치 성공은 요원하다”며 전북도의 준비 태세 전반에 날을 세웠다.

박정규 의원(임실)은 “2036 하계올림픽이 문화올림픽을 지향하는 만큼, 국내외 엔터테이너와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SNS 맞춤형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며 전략 수립을 촉구했다. 이어 “K-POP 등 세계적 콘텐츠의 영향력을 활용하고, 방시혁 대표 같은 문화 리더들과의 협력 방안도 적극 검토해 전북의 문화적 가치를 알릴 글로벌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희수 의원(전주6)은 국제공항을 활용한 국가 차원의 홍보 방안도 제안했다. “인천공항, 김포공항 등 주요 관문에서 전북 올림픽 유치를 알리는 메시지를 내보내야 한다”며 “공항 내 전광판, 플래카드 등 상징적 도구를 활용해 ‘대한민국 전체가 유치를 염원한다’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략 부족의 본질적 문제로는 IOC의 이해관계에 대한 분석 부족이 지적됐다. 이명연 의원(전주10)은 “IOC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려면 위원들의 관심사와 인적 관계를 면밀히 분석해야 하며, 전북이 그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해당 가치에 맞는 새로운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올림픽 유치 특별법 제정 과정에선 종목별 경기 예정지 국회의원들과 긴밀히 협력해 공동발의를 추진해야 하며, 지역을 넘어 전국적 협력 체계를 갖추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유치 활동이 전주에 집중돼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김정기 의원(부안)은 “올림픽 유치 관련 대외협력 사업이 전주에만 집중돼선 안 되며, 시군이 역할을 나눠 함께 홍보에 참여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연대 도시 협의체 구성이 8~9월로 예정된 것은 시기적으로 늦은 감이 있다”며 조속한 협력 체계 구축을 촉구했다. 이어 “올림픽 유치를 위해선 먼저 큰 틀의 전략을 세우고 실행에 나서야 하며, 전북의 부흥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유치 실행의 기반이 될 인프라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장연국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전주시에서 건립 중인 스포츠종합시설이 1만 석 이하로 계획된 점을 언급하며 “이 규모로는 올림픽 경기장으로 활용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인근에 대규모 숙박시설이 충분한지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며 “숙박 인프라 확충과 경기장 계획을 구체화해 유치 준비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의회는 “지금 필요한 것은 실행보다 전략”이라며, 유치 선언에 앞서 전북도의 방향 설정부터 다시 점검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전경.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양승수

전북취재본부 양승수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