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고창군이 지역 내에 분포해 있는 문화재 등 국가 유산에 대한 효율적인 보존을 위한 정책을 수립해 운영한다.
고창군에 따르면 지난 17일 매장 유산 관련 전문가와 국가유산청, 전북자치도, 고창군 관련 부서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고창군 매장 유산 정보 고도화 사업’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착수보고회에선 매장 유산 유존 지역 정밀 지표조사, 보존 조치 방안 수립, 유존 지역도 제작 등 사업 추진 방향과 일정이 보고됐다.

사업은 땅 속에 국가 유산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정되는 ‘매장 유산 유존 지역’에 대한 명확한 사전정보 제공과 훼손 방지, 합리적인 보존 방안을 마련하게 된다.
현재 고창군의 매장 유산 유존 지역 정보는 2005년의 ‘문화유적분포지도’를 바탕으로 그동안의 학술조사와 개발행위 시·발굴조사 결과 등이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 공간정보 서비스’에 등재되어 있다.
하지만 지난 20여 년간의 도시화와 다양한 개발행위로 인해 지형 여건이 변화하면서 현시점과 일치하지 않아 정보의 현행화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고창군은 국가유산청으로부터 국비 지원을 통해 전체 면적 중 도심지인 고창읍, 고수면, 아산면을 우선적 대상 지역으로 정해 선사시대부터 한국전쟁 이전까지 매장 유산 정밀지표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나윤옥 고창군 문화예술과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고창군의 매장 유산 정보를 최신화하여 매장유산의 효율적인 보존관리과 함께 건축 및 개발행위 등 군민들의 토지 이용 불편을 상당 부분 해소하고 국가 유산 행정의 효율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