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연구원(원장 이남호)이 27일 발표한 이슈 브리핑에서 ‘30분 농촌생활권’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국가 차원의 교통 인프라 확충과 자율주행 도입 등의 해법을 제시했다.
연구원은 이동권 보장이 지역 소멸을 막는 핵심 요소라며, 농촌 주민들이 의료·교육·문화 등 필수 서비스를 30분 내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북연구원은 농촌 지역의 열악한 교통망이 지역 소멸을 가속화하는 주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병원 방문을 위해 몇 시간씩 버스를 기다려야 하거나, 문화생활을 즐기기 위해 먼 도시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이 계속되면서 인구 유출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연구원이 조사한 결과, 농촌 거주 65세 이상 1인 가구가 병·의원을 방문하는 데 평균 30분 이상이 걸리고, 식품사막화 지역에서는 신선식품 구입을 위해 1시간 이상 이동해야 하는 사례도 확인됐다. 연구원은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지 않으면 농촌의 이농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전북연구원은 ‘30분 농촌생활권’ 실현을 위해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교통망 구축 △DRT(수요응답형 교통) 국가 재정 지원 △여객과 물류를 결합한 농촌형 자율주행 상용화 △광역적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국가 주도 교통망 구축 등의 정책을 제안했다.
특히 농촌 특성을 고려한 자율주행 버스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여객과 물류 기능을 결합한 자율주행 버스를 도입해 농촌 주민들의 이동성을 높이고, 30분 내 필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범지구를 지정하고,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전북연구원은 인구 5만 명 이상의 34개 군 지역을 대상으로 철도역 유무와 인구 소멸지수를 분석한 결과, 철도역이 있는 지역이 상대적으로 소멸 위험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연구원은 5만 명 이상의 군 지역에 철도역을 신설하는 것이 지역의 광역 접근성을 높이고 생활 인구 유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남호 전북연구원 원장은 “농촌이 초고속 이동 시대에 소외되지 않으려면 교통 인프라 개선이 필수적”이라며 “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투자와 정책적 지원을 통해 농촌 주민들도 도시에 뒤처지지 않는 삶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