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하동군은 컴팩트 매력도시 조성을 위한 사례를 답사하고자 지난 8일부터 15일까지 미국 애틀란타의 수와니시와 둘루스시, 뉴욕을 방문했다고 20일 알렸다.
선진사례 답사에는 하승철 군수와 미래도시 담당 부서 직원들이 함께하였으며 군은 미국의 도시정책을 참고해 컴팩트 매력도시 조성의 밑거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미국은 남한의 100배가 넘는 큰 대륙으로 자동차가 이동 수단의 기본이 된다. 자동차가 중심이 된 미국 현지에서도 애틀란타의 작은 도시 수와니와 둘루스시는 다운타운 내 보행을 통한 접근 체계를 마련하고 지역민의 커뮤니티 공간으로 시청사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수와니시의 변화는 2002년 다운타운 마스터플랜을 수립하면서 시작됐다. 같은 해에 시청사, 공원 부지를 매입하고 2004년까지 청사 리노베이션, 광장과 공원 등을 조성해 시민들에게 공유공간을 제공했다. 이렇게 조성된 공유공간은 시민들의 휴식․문화공간으로 활용되었으며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계기가 됐다.
애틀란타의 폰즈시티마켓과 뉴욕의 첼시마켓은 과거 폐공장으로 활용되던 곳을 도시재생사업 일환으로 리모델링해 쇼핑․문화․휴식공간을 제공한다. 폰즈시티마켓과 접해서 과거 철도로 이용되던 공간을 도시재개발사업 ‘애틀란타 벨트라인’ 프로젝트를 통해 도심 순환 산책로를 조성했다.
‘애틀란타 벨트라인’ 프로젝트는 애틀란타 중심 지역을 둘러싼 35킬로미터에 달하는 폐철로를 활용해 녹색공간을 조성하고 인근지역의 교통 연계성을 강화하며 주택건설을 촉진함으로써 쇠퇴한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제고하며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춘다.
도시의 규모는 다르지만 하동군과 애틀란타의 도시환경은 비슷하다. 과거 하동읍을 관통했던 경전선은 이젠 폐철도가 되어 주민들에게 산책로로 이용되고 있으나 여전히 구도심과 신시가지를 가로막고 있다. 도시의 연결성과 확장성을 위해 둑으로 남아있는 구간을 평탄화해 도심을 연결하는 주요 축으로 조성하고 인근지역과의 연계성을 감안해 활용한다면 재생 사례의 새로운 모델이 될 것이다.
뉴욕의 거리는 거리마다 다른 매력을 가진다. 거리별로 다른 매력을 지니는 이유는 뉴욕시에서 운영하는 POPS(Privately Owned Public Space-개인소유 공공공간) 프로그램과 거리별 가이드 라인을 운영하기 때문이다.
1961년부터 시작된 POPS 프로그램은 사유지 내 개방된 광장이나 공유공간에 대하여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대중에게 유용한 공간이 될 수 있을지를 지속해서 고민해 설계표준을 개선한다.

이러한 공공 공간은 보도에서 쉽게 볼 수 있고 공공보도 옆에 좌석과 편의시설을 제공한다. 보도와의 레벨 차이를 두지 않아 출입을 위한 접근이 쉬우며 열린 공간과 녹지를 조성함으로써 편안하고 매력적인 공간을 제공한다.
공원의 주요 목표는 건강한 레크리에이션을 즐길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을 도시에 사는 모든 계층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1850년대 당시만 하더라도 일부 특권층만의 사적인 공간이었던 공원을 대중에게도 평등하게 누릴 수 있게 조성한 센트럴 파크는 이젠 뉴욕의 랜드마크로 자리한다.
하승철 하동군수는 “미국 답사를 통해 도시의 개발 방향이 사람과 자연을 중심으로 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으며 넓은 땅을 소유한 미국에서도 다운타운 개발 시 컴팩트 도시공간과 보행 중심의 교통체계를 중요시함을 확인하게 돼 군에서 추진하고 있는 도시정책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었다”라고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