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외국인 정착 지원 강화… ‘지역특화형 비자’ 확대 시행

인구 감소 대응과 지역 경제 활성화 위한 외국인 유입 촉진, 다양한 지원책 마련

▲전북특별자치도가 지방소멸 위기 대응을 위해 ‘지역특화형 비자’ 사업을 확대하고, 외국인 정착 지원을 강화한다. ⓒ전북자치도

전북특별자치도가 지방소멸 위기 대응을 위해 ‘지역특화형 비자’ 사업을 확대하고, 외국인 정착 지원을 강화한다.

김관영 전북지사의 제안으로 2022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이 사업은 외국인을 유입해 인구 감소 지역의 경제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정책이다.


올해부터 사업 운영 기간이 기존 1년에서 2년으로 연장되며, 대상 지역은 익산시까지 확대된다.

또한 외국인 고용 가능 인원이 기존 20명에서 50명으로 늘어나고, 업종 제한이 폐지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외국인 취업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계획이다.

올해 모집 대상은 △지역특화 우수인재(F-2-R) △지역특화 숙련기능인력(E-7-4R) △숙련기능인력(E-7-4) △지역특화 외국국적동포(F-4-R) 등 4가지 유형으로, 이들에 대해 장기 거주 및 취업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지역특화 우수인재’는 유학생 및 전문인력 대상, ‘지역특화 숙련기능인력’은 2년 이상 체류한 외국인 근로자들을 위한 비자이다. ‘숙련기능인력’ 비자는 전북에서 3년 이상 근무한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며, 한국어 요건이 완화됐다. ‘지역특화 외국국적동포’는 외국 국적 동포 및 그 가족이 대상이다.

전북은 외국인의 안정적인 정착을 돕기 위해 ‘전북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를 운영하며, 정착 초기에는 생활필수품과 정착 안내서가 포함된 ‘전북사랑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한국어 교육과 직무역량 강화 교육을 지원해 외국인의 지역사회 적응을 돕고 취업박람회와 기업 설명회를 통해 외국인의 취업 기회를 확대한다.

백경태 전북자치도 대외국제소통국장은 “지방소멸 위기가 점차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외국인 정착 지원 정책이 인구 감소 문제 해결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외국인 유입을 더욱 촉진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양승수

전북취재본부 양승수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