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산청군은 소규모 공공시설에 대한 일제 점검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도로법이나 하천법 등 관련 법률의 적용을 받지 않아 관리가 소홀했던 소교량, 세천, 취입보, 낙차공, 농로, 마을진입로 등 안전사각지대에 놓인 소규모 공공시설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위해 추진한다.
특히 1970~1980년대 무분별하게 설치돼 관리 주체가 불분명하고 체계적인 관리·정비가 미흡한 시설을 점검해 시설물 관리 강화와 군민 안전을 확보한다.
군은 이번 점검을 위해 2025년 소규모 공공시설 전수점검 계획(안)을 세우고 지난달 읍면 담당자 교육을 통해 역량을 강화했다.
읍면 담당자들은 총 1128곳의 소규모 공공시설에 대한 안전 점검을 이달 말까지 실시한다.
점검에서는 각 시설의 구조적 결함, 파손 여부와 재해 발생 가능성 등을 면밀히 살핀다.
점검 결과는 NDMS(국가재난관리시스템)에 입력·제출할 예정이다.
점검 결과 손상된 시설은 장마철 전까지 보수 작업을 완료할 방침이다.
또 재해 위험이 큰 시설은 위험시설로 지정해 고시한 후 별도의 관리 체계를 마련한다.
지역개발은“이번 점검을 통해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고 소규모 공공시설의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확보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군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생활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