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야생버섯 함부로 먹으면 안 돼요"… 중독사고 주의보 발령

국내 자생버섯 2200종 중 대다수 식용 불분명하거나 독 있어

우리나라 자생 버섯 2200여 종 가운데 먹을 수 있는 것은 일부이며 대다수는 식용이 불분명하거나 독이 있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이 산림생물표본관(KH)에 소장한 3만여 점의 표본을 분석한 결과 6월~8월에 많이 발생하는 독버섯은 우산광대버섯과 혹깔때기버섯, 맑은애주름버섯, 노란개암버섯, 좀벌집구멍장이버섯, 흑자색미친그물버섯, 독우산광대버섯, 큰주머니광대버섯, 마귀광대버섯 등으로 나타났다.

독버섯은 비슷한 모습의 식용버섯과 동시에 자라는 경우도 많아 쉽게 구별하기 어렵다.

▲사진의 좌측이 독버섯 노란개암버섯이과 우측이 독버섯인 마귀광대버섯 ⓒ농촌진흥청

작년에 야생버섯을 먹고 아무 이상이 없었다고 해도 올해 같은 장소에서 발생한 버섯이 안전하다고 할 수 없다. 온도와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다른 오염균으로 인해 추가적인 중독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과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여름철 야생버섯의 무분별한 섭취는 중독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고하고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에 따르면 지난 2014년부터 작년까지 최근 10년간 야생버섯으로 인한 중독사고는 총 5건이지만 이로 인해 발생한 환자 수는 38명에 이른다.

1건당 평균 환자 수가 7.6명인 것은 야생버섯을 가족이나 지인과 나눠 먹어 피해가 확산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민간 속설에만 의존해 야생버섯의 식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 또한 위험하다. 대부분의 민간 속설은 과학적 근거가 없으며 독버섯 종류는 매우 다양해 하나의 기준으로 쉽게 구분할 수 없다.

▲좌측이 독버섯 중 혹깔때기버섯이고 우측은 독버섯인 우산광대버섯이다. ⓒ농촌진흥

따라서 중독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야생에서 채취한 버섯은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이미 섭취해 증상이 발생했다면 빨리 토해내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섭취한 독버섯을 가지고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장갑열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과장은 "독버섯은 자생지의 발생환경과 단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색깔을 띨 뿐 아니라 식용버섯과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전문가가 아닌 이상 구분하기 매우 어렵다"고 말했다.

장갑열 과장은 "중독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야생버섯보다 느타리, 팽이버섯 등 농가에서 생산한 믿을 수 있다"며 "신선한 재배 버섯을 이용하는 것이 버섯을 안전하게 즐기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박기홍

전북취재본부 박기홍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